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전시가 대중화 현재화의 양상과 방향 탐색

이용수 89

영문명
Exploring the aspects and directions of popularization and modernization of classical poetry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황병익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63권, 39~80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전시가는 현재 매우 난이도 높은 문학 장르가 되었지만, 본디 음악과 문학을 겸한 예술로서 여러 계층의 사랑을 받아왔다. 국립국악원 생활국악 시조창·가곡창 음반이나 동영상, 킹레코드의 전통가곡·가사의 원류, 국악방송의 아이들 노래 향가와 고려가요, Synnara Music의 경기 12잡가, 서울예술단의 〈산화가〉, 정읍시립국악단의 〈상춘곡〉·〈정읍연가〉, 송골매 〈처용의 슬픔〉을 비롯한 여러 음반, 문숙희 〈청산별곡〉을 비롯한 음악 영상, 이윤택 〈도솔가〉를 비롯한 연극, 경주·부여·삼척·울산·포항에서의 각종 가무악과 공연은 고전시가 대중화·현재화의 가치 있는 유산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체계적인 심의와 지원을 통해 뇌리에 남을 콘텐츠를 많이 만들지 못했다는 점이다. 영상의 효과를 더한 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500만 관객), 영화 〈쌍화점〉(관객 378만), SBS 대하드라마 〈서동요〉(2005〜2006, 시청률 21.4%)는 대중 콘텐츠로 각인되었다. 이에 본고는 고전시가 대중화·현재화 방안의 일환으로, 관련 문화유산 관광 코스의 적극적 개발, 역사와 문학을 총합한 콘텐츠의 개발, 공연예술의 원형 복원과 재현, 역사성·현장성·생동감을 되살린 중등 교육, 캐릭터·캘리그라피를 활용한 전시 홍보, 시가문학관 건립을 통한 아카이브 구축, 시가 원천 스토리텔링의 지속적인 발굴과 가공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학자들이 중등 교과 과정 수록 시가(특히 고려가요, 향가)와 대중화 대상 작품에 대한 최선의 현대어 원전 텍스트를 확정한 후, 교육이나 설명은 작품 풀이에 머물지 않고 역사를 생생히 소환하고 문학적 상상력을 넓히는 계기를 만들어주어야 하며, 시대를 넘어 요즘의 희로애락과 견줄 수 있도록 쉽고 재미있게 전달해야 한다. 예컨대, 영재 스님이 60인의 도적을 깨우친 서사를 담은 〈우적가〉는 “내가 쓴 시 60명 도둑의 무리는커녕/단 한 사람의 마음도 움직인 바 없으니/컴퓨터 팔아버리고 산중 깊이 숨어야 하리”(이승하, 〈우적가〉)로, 〈청산별곡〉은 “살어리 살어리랏다 資本에 살어리랏다/머리랑 다리랑 먹고 자본에 살어리랏다/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박남철의 시 〈자본에 살어리랏다〉)는 시가를 현대적 의미로 변주한 좋은 예이다.

영문 초록

Classical poetry has become a highly challenging literary genre today, but originally, it was an art form that combined music and literature and received love from various classes of the society. Valuable efforts to popularize and update classical poetry include the following: recordings and videos of Sijochang & Gagokchang as daily Gugak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King records’ Gagok and Gasa wonryu; Hyangga and Goryeogayo for children from Gugak FM Inc.; Synnara record’s Gyeonggi 12 Japga; various albums like Seoul Performing Arts Comapany’s “Sanwhaga”, Jeongeup Municipal Gugak Troupe’s “Sangchungok” and “Jeongeup Love Song”, and Songolmae’s “Cheoyong’s Sorrow”; music videos including Moon Sook-hee’s “Cheongsanbyeolgok”, theatrical performances like Lee Yun-taek’s “Dosolga”, and various dance and music performances in cities like Gyeongju, Buyeo, Samcheok, Ulsan, and Pohang. These are all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promotion and modernization of classical poetry. Unfortunately, since there was no systematic evaluation and support for the works, they were not very memorable to the public. However the film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 (5 million viewers), the movie “Ssanghwajeom” (3.78 million viewers), and the SBS historical drama “Seodongyo” (from 2005 to 2006, viewer rating 21.4%), which used video effects effectively, were popular successes. The main points emphasized in this paper as part of the effort to popularize and modernize classical poetry are as follows: proactive development of related cultural heritage travel routes, the development of content that combines history and literature, the restoration and reenactment of original performances, enhancing historic, on-site, and dynamic experience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a, exhibition promotion using characters and calligraphy, building archiv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lassical poetry museums, and the continuous discovery and adaptation of original storytelling in classical poetry. First and foremost, scholars should establish definitive source texts in modern- language for classical poetry (especially Goryeogayo and Hyangga) included in secondary school curricula and the works targeted for popularization. Subsequently, education and explanations should not merely dwell on simple interpretations of the works but should vividly evoke history and expand literary imagination. The goal should be to convey the works in an easy and engaging manner, enabling them to resonate with the joys and sorrows of today and stand the test of time. For example, 〈Woojeokga〉, which contains the narrative of monk Youngjae’s awakening of 60 thieves, says, “The poem I wrote, let alone the group of 60 thieves/Not even a single heart was touched/So I will have to sell my computer and hide deep in the mountains” (Lee Seung-ha, 〈Woojeokga〉), Likewise, “Cheongsanbyeolgok” is transformed into a modern interpretation as “Living, living for capital, living for capital / Eating heads and legs, living for capital / Yalri-yalri yalrang-syeong yal-lari yal-lara” (from Park Nam-chul’s poem “Living for capital”), offering good examples of how classical poetry can be adapted into contemporary meaning.

목차

1. 들머리
2. 고전시가 대중화 현재화의 양상
3. 고전시가 대중화 현재화의 방향 탐색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병익. (2023).고전시가 대중화 현재화의 양상과 방향 탐색.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39-80

MLA

황병익. "고전시가 대중화 현재화의 양상과 방향 탐색."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023): 39-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