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세기 소련 작곡가 카푸스틴의 음악에 나타난 재즈적 요소 - <피아노 협주곡 2번 Op. 14>를 중심으로
이용수 94
- 영문명
- Jazz Elements in the Music of 20th Century Soviet Composer Kapustin - Focusing on “Piano Concerto No. 2 Op. 14”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김수진 장유정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32호, 35~7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세기의 세계 정치 변화와 음악 문화의 혼돈 속에서 클래식과 재즈의 융합에 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카푸스틴의 <피아노 협주곡 2번 Op. 14>에 나타난 재즈적 요소가 클래식 음악에 결합하여 현대음악의 진화에 이바지한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오케스트라 총보를 기반으로 음악 형식, 박자, 리듬, 선율, 화성, 악기 편성 등 다양한 측면으로 분석한 결과, 카푸스틴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은 클래식과 재즈의 융합을 통해 음악적 다양성과 혁신을 보여주며 전통과 실험의 경계를 넘어선 작품으로 나타났다. 카푸스틴은 클래식 음악에 재즈적 요소를 통합하여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을 개발하였고 서드 스트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카푸스틴의 음악적 융합은 다양한 음악적 요소가 상호작용한 현대음악의 새로운 경향으로 명확히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가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와 대중음악의 혁신을 증진하여 새로운 작품을 모색하고 창작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Amid changes in world politics and the chaos of musical culture in the 20th century,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fusion of classical music and jazz emerged.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jazz elements in “Kapustin’s Piano Concerto No. 2 Op. 14” (Concerto) combined with classical music to contribute to the evolution of modern music. Analysis of various aspects such as musical form, tempo, rhythm, melody, harmony, and instrumentation based on the orchestral score revealed that Kapustin’s Concerto exhibited musical diversity and innovation through the fusion of classical music and jazz, and was a work that went beyo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 and experiment. Kapustin developed a unique musical style by incorporating jazz elements into classical music and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the third stream. Kapustin’s musical fusion was clearly revealed as a new trend in modern music in which various musical elements interacted. These results can help find and create new works by promoting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and innovation of popular music.
목차
1. 머리말
2. 20세기 음악과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3. 카푸스틴과 서드 스트림(Third Stream)
4. <피아노 협주곡 2번 Op. 14>의 가치와 음악적 특성
5. 카푸스틴 음악의 다양성과 융합성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