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대중가요가 노래해온 죽음에 관한 탐색적 연구 -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56
- 영문명
- Death in Korean Popular Songs : An Exploratory Study - Focusing on the 1920s to 1950s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김세훈 유옥란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32호, 9~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창기 한국 대중가요 노랫말 속 죽음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변화와 대중의 정서를 대변해 온 대중가요는 역사를 통해 죽음을 끊임없이 변주해 왔다. 죽음의 찬미로 시작된 한국 대중가요 역시 100년의 역사 속 질곡의 분기점마다 죽음에 대한 관점과 노래 방식을 변화시켜 왔다. 대중가요 등장 시기 국권 상실의 허무감은 개인적 순애의 애도로, 군국주의 심화기에는 천황을 위한 순교의 찬양으로, 광복에서 6.25 전쟁을 통해 에 이르는 시기에는 조국을 위해 산화한 이를 위한 순국의 추모로 발현되었다.
과거를 통해 미래를 배우듯, 코로나19의 창궐로 죽음을 이전보다 더 진지하게 성찰할 수 있는 시기에 대중가요가 죽음을 노래해온 역사를 회고하는 것은 죽음에 대한 대중적 관심의 변화는 물론, 사회가 인식하는 죽음의 단면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the meaning of death has changed in early Korean popular songs. As a representation of social change and popular sentiment, such songs have constantly changed the meaning of death throughout history. The view of death and the way it is sung has also changed at different points in the 100-year history of Korean popular songs, which began as a praise of death. The nihilism of the loss of sovereignty during the emergence of popular song was expressed in songs of personal mourning, martyrdom for the emperor during the period of increased militarism, and mourning for those who died for their country during the period from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As we learn about the future from the past, a retrospective of the history of popular songs about death at a time when the coronavirus pandemic is forcing us to reflect on death more seriously will be an opportunity to observe not only the changes in public interest in death, but also the cross-section of death as perceived by society.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 대중가요가 노래한 죽음의 역사
3.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한국 음악소양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도 연구
- 지역형 초등국악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경험 탐색 - 초점집단면담(FGI)을 중심으로 -
- 포스트 휴먼 시대, 실천적 미적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 탐색 - 자기 이해와 타자 이해에의 조망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