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시대 동경 부장의 의미

이용수 31

영문명
The Meaning of Buried Bronze Mirror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중앙문화재연구원
저자명
김동균
간행물 정보
『중앙고고연구』제42호, 25~6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 동아시아의 동경은 당대 구성원들의 미의식, 우주관이 깊게 반영되는 기물이었으며 각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사용되었다. 이 글에서는 여기에 주목하여 삼국시대의 동경, 특히 한식경과 왜경을 단순한 외래계 유물로 바라보지 않고자 하였다. 삼국시대 한반도에서 동경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지, 나아가 각 지역사회에서는 이를 어떻게 받아들였으며 활용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6세기 한반도 남부 전체를 대상으로 지형과 수계, 정치체를 고려하여 5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였다. 각 권역의 동경 출토양상을 살핌으로써 동경이 어떻게 부장되고 매납·폐기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고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동경이 지녔던 의미를 참고하여 삼국시대 한반도 동경이 지닌 의미를 추론하였다. 결론적으로 삼국시대 사회에서 동경은 다른 고대 동아시아 사회만큼 수요가 높지 않았으며 각 지역사회에서는 저마다의 시각에서 동경을 이해하였고 서로 다르게 동경을 활용하였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는 여타 고대 동아시아와는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보는 이에 따라 기물을 바라보는 시각은 모두 다르다. 기물에 대한 시각은 때로는 공유되고 재생산되며 가족, 집단, 사회로 확산되며 때로는 점차 소멸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삼국시대의 동경을 대상으로 동일한 기물이 서로 다른 시공간적 맥락에서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다르게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ancient East Asia, bronze mirrors were objects that enabled their creators and users to reflect their perceptions. Each ancient East Asian society interpreted and utilized the mirro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needs. Instead of simply perceiving the Three Kingdoms Period’s bronze mirrors, especially Han-style bronze mirrors and Japanese bronze mirrors, as foreign artifacts, this paper aims to delve into the significance of the bronze mirrors i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at time and examine how they were received and utilized by different communities. Southern Korean Peninsula during the 4th~6th centuries, which were part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s first sorted into five regions based on topography, water systems, and political entities. Next, the excavated context of bronze mirrors from each region is examined to study how these mirrors were buried and disposed of. The significance of bronze mirrors within ancient East Asian societies is, then, used as a reference to infer the importance of the mirrors within Korean communitie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conclusion, bronze mirrors were not in high demand within various Three Kingdoms Period societies on the Korean Peninsula unlike within the societies that existed in other parts of ancient East Asia. Furthermore, each society on the Korean Peninsula interpreted and utilized bronze mirrors in a unique way that aligned with its specific needs. This was dissimilar to practices observed in other ancient East Asian societies. The way an object is perceived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Sometimes, perceptions of objects are shared, reproduced, and diffused throughout societies. At other times, the perceptions slowly fade away. Through examining bronze mirror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a type of object can be received and utilized in diverse ways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ime and space.

목차

Ⅰ. 머리말
Ⅱ. 동경의 분류
Ⅲ. 권역별 동경 출토양상
Ⅳ. 삼국시대 동경 부장의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균. (2023).삼국시대 동경 부장의 의미. 중앙고고연구, (), 25-66

MLA

김동균. "삼국시대 동경 부장의 의미." 중앙고고연구, (2023): 2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