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omparative Study on Military Climate Crisis Management Poli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이용수 4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Military Climate Crisis Management Poli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최선규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8, 115~1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limate crisis is emerging as an extreme crisis for the entire earth and humanity. Recently, the 6th IPCC report was published, but the forecast results are even more disastrous. Accordingly, the United States, one of the world's strongest developed countries, is doing its best to prepare a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climate crisis in the field of defense. In particular, the United States recognizes the climate crisis as one of the biggest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and is designing policies based on this perception. However,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re is no continuously policy for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in the defense sector. In this study, in order to think about the problems of South Korea's defense climate crisis management policy,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U.S. defense climate crisis management policy. As a result, specific policies for each field are being conceived and implemented in the U.S. defense climate crisis management policy. However, in the case of South Kore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recognition of the climate crisis as a threat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no specific polic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Review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간호사의 감염관리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8 목차
- 가족해체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실천과 정체성 협상
-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인식에 관한 실증 분석
- 포괄적 안보 상황 하에서 한국의 예방적 테러와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n Military Climate Crisis Management Poli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국내 관광·레저 시설의 사고 발생 특징 분석
- Analysis of Determining Factors of Agricultural Income among Farm Households Participating in Farming Cooperative Using a Sample Selection Model
- HINT-8 지표를 활용한 한국 20대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 닥터헬기 응급의료종사자의 직무분석
- 방사능 누출 상황 발생 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산불진화대원의 복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1호 목차
- 정부신뢰의 영향요인: 종단적 접근
- 수정된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기후변화 정책변동의 실증적 접근: 11개 광역지자체의 온실가스 변화량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