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사능 누출 상황 발생 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A Study on the Role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n Nuclear Safet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Crisis Management Manual in Nuclear Safety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영민 김윤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8,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원자력연구원과 원자력의학원을 산하기관으로 두고 연구용 원자로를 보유하고있으며, 원자력 진흥과 관련된 업무를 하고 있는 중앙부처이다. 우리나라는 재난유형별 대응체계를가지고 있고, 원전안전분야(방사능 누출)의 위기관리 매뉴얼을 갖추고 있다. 원전안전분야는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중심으로 대응체계를 구성하고, 관련 부처들이 원전안전분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을 보유하고있지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해당 분야의 실무매뉴얼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착안하여, 원전안전분야의 실무매뉴얼을 보유하고 있는 중앙부처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역할을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또한, 원전안전분야와 관련된 기관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현재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방사능 누출시 부여된 역할과 임무 및 한계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원전안전분야(방사능누출) 위기대응실무매뉴얼을 보유하게 될 경우, 고려해야 할 제안점을 법적근거 마련, 표준매뉴얼에 명시된 역할수행을 위한 부서지정, 추가적 협업 역할 발굴 등을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Ministry of Science & ICT is a central agency in South Korea that oversees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and the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as affiliated institutions. Furthermore, the ministry possesses a research reactor and is responsible for nuclear safety research. South Korea established a crisis management manual specifically for nuclear safety and nuclear safety field is coordinated by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with relevant ministries holding operational manuals for nuclear safety crisis response. In this study, we analyze how central agencies with operational manuals for nuclear safety define the role of the Ministry of Science & ICT. Furthermo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institutions related to nuclear safety, we extract the roles, tasks, and limitations that the Ministry of Science & ICT currently holds in the event of a radiological event. Finally, this study suggest the considerations such as establishing legal grounds, designating departments for roles specified in the standard manual, and exploring additional collaborative roles for the Ministry of Science & ICT’s crisis management manual.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심층 인터뷰 실시 및 결과
Ⅵ. 논의 및 시사점
Ⅶ. 결론 및 향후 연구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간호사의 감염관리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8 목차
- 가족해체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실천과 정체성 협상
-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인식에 관한 실증 분석
- 포괄적 안보 상황 하에서 한국의 예방적 테러와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n Military Climate Crisis Management Poli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국내 관광·레저 시설의 사고 발생 특징 분석
- Analysis of Determining Factors of Agricultural Income among Farm Households Participating in Farming Cooperative Using a Sample Selection Model
- HINT-8 지표를 활용한 한국 20대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 닥터헬기 응급의료종사자의 직무분석
- 방사능 누출 상황 발생 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산불진화대원의 복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1호 목차
- 정부신뢰의 영향요인: 종단적 접근
- 수정된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기후변화 정책변동의 실증적 접근: 11개 광역지자체의 온실가스 변화량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