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관광·레저 시설의 사고 발생 특징 분석
이용수 95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Accidents in Tourism and Leisure Faciliti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조현우 원진영 정재학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8, 43~6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관광·레저 시설의 현황과 변화 동향을 파악하고, 사고 사례를 활용하여 시설별형태와 원인 등 사고의 발생 특징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대상은 최근 10년 이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케이블카와 모노레일, 출렁다리, 스카이워크, 하강레포츠로 한정하였으며, 사고 사례는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상기 관광 · 레저 시설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관광· 레저 시설의 유형은 궤도시설, 관람시설, 체험시설로 구분하였으며, 사고 형태와 원인을 정의하여 교차분석(카이제곱 검정)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궤도시설(케이블카와 모노레일)은 정지사고 형태가 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는 기계적 원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람시설(출렁다리, 스카이워크)에서 발생하는 특징적인 사고는추락사고로, 대부분 개인의 부주의와 운영시스템적인 문제로 발생하였다. 체험시설(하강레포츠)은 기계적 결함과 운영시스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충돌 · 추돌사고가 주를 이루었다. 향후 본연구에서 제시한 시설별 사고의 특징과 위험요소를 고려하여, 법 · 제도 개선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개발 등 실효성 있는 재난과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 trends of tourism·leisure facilities in South Korea, and to identify factors (types and causes) of accidents in each facility by collecting accident cases (from 2011 to 2023) and conducting chi-square test. As a result, the tourism and leisure facilities have rapidly increased throughout the country within the last 10 years. Some facilities have become deteriorated, operated in unmanned systems, longer and higher, and more unique and combined. In tramway facilities (cableway, monorail), stationary facility mainly occurred due to mechanical defects compared with other facilities. In landscape facilities (pedestrian suspension bridge, sky-walk), fall accidents mostly caused by individual negligence and operating system problem. Finally, in adventure facilities (zip-line), collision (including rear-end) accidents significantly resulted from mechanical and operating system factors. Therefore, it should be required more intensive safety management for accident prevention of tourism and leisure by improving legal and institution, and developing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국내 주요 관광·레저 시설 현황 및 변화추이 분석
Ⅲ. 관광·레저 시설 사고의 특징 분석
Ⅳ. 논의 및 주요 시사점
Ⅴ. 결론
알리는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간호사의 감염관리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8 목차
- 가족해체 결혼이주여성의 모성실천과 정체성 협상
-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인식에 관한 실증 분석
- 포괄적 안보 상황 하에서 한국의 예방적 테러와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 A Comparative Study on Military Climate Crisis Management Poli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국내 관광·레저 시설의 사고 발생 특징 분석
- Analysis of Determining Factors of Agricultural Income among Farm Households Participating in Farming Cooperative Using a Sample Selection Model
- HINT-8 지표를 활용한 한국 20대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 닥터헬기 응급의료종사자의 직무분석
- 방사능 누출 상황 발생 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산불진화대원의 복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