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西方要紀』와 조선 지식인들의 독서

이용수 19

영문명
An Examination of the 『Xipang Yaoji』 Composition and Its Readings of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박혜민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96호, 145~17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西方要記』의 서술 목적 및 구성 방식과 조선 지식인들에 의한 독서 양상을 분석하고 그 학술적 의미를 고찰한다. 『서방요기』는 서양 중세 및 르네상스기의 서구 학문과 가톨릭적 그리스도 교학사상을 결합한 포교 방식에서 비롯된 중국 진출 초기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한 하나의 기획물이었다. 이 서적의 저자들은 중국의 지배층을 독자로 상정하고 유럽을 도덕적이고 공정한 공간, 즉 종교로 성화된 공간으로 묘사한다. 또한 한자문화권의 지리 관념인 직방세계에 ‘바깥’이라는 공간을 설정한 뒤 그 공간에 유럽을 넣어 西洋이라 지칭하였다. 李敦中이 「西洋記」를 저술할 때 첫머리에 ‘유럽의 위치’를 언급한 것은 正史 外國傳에서 사용된 인도양 연안의 나라로서의 ‘서양’과 예수회 선교사들이 번역한 ‘서양’의 지리적 위치의 차이점과 그들이 설정한 공간이 職方外, 즉 ‘천자의 교화가 미치는 범위 밖’에 존재한다는 사실의 중요성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 지식인들은 혼동을 면하지 못하였다. 한자문화권에서 사용되었던 ‘서양’은 이미 의미를 가득 담고 있고(正史 外國傳에 기록된 인도양 연안의 지역) 기존의 개념(직방세계)이 원어(Europe)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영역으로 새 개념(예수회 선교사들이 사용한 西洋)을 끌고 가기 때문이다. 한편 李圭景은 『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 『서방요기』 외에도 당대 조선에 수입된 세계지리지 서적들, 16∼17세기에 저술된 『職方外紀』, 『坤輿圖說』은 물론이고 『곤여도설』 하권에서 발췌하여 단편으로 유통된 별본 『坤輿外記』나 「七奇」부터 19세기에 저술된 『海國圖志』까지 폭넓게 인용하고 있다. 『서방요기』는 카톨릭의 중국 선교 역사를 서술할 적에 인용서로 언급되었고, 그 외에도 서양의 약물에 대한 고증서로도 활용되었다. 예수회 선교사들의 세계지리지는 한자문화권의 사람들에게 그들의 지리관념이 불완전하며 온당하지 않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 조선 지식인에 의한 한역 세계지리지의 기록은 지리 관념의 재설정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들의 세계지리지의 독서의 양상은 학술적 측면에서 그들이 서구 지리학에 대응하는 방식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서방요기』를 독서에 한정해서 본다면 서구의 지리학에 대해 학술적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고증서 및 ‘박물류’의 인용서로 수용하였던 양상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purpose and composition method of Xipang Yaoji among translations by the Society of Jesus introduced since the 17th century, and the reading pattern by Joseon intellectuals, and examined its academic meaning. Xipang Yaoji was a project by various Italian Jesuits in the early days of his entry into China, which originated from a missionary method that combined Western studies and Catholic Christian ideas during the Western Middle Ages and Renaissance. Written for the purpose of showing the emperor, the book describes Europe as a Catholicized space as a fair and moral space. They set lands beyond the purview of the Zhifang Si, the Imperial cartography office. When Lee Donjung, a Joseon intellectual, wrote Suh Yanggi, he defined Europe's location in the first table of contents because he thought it was important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Xipang used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Xipang used by Jesuits as a translation language. Originally, for Chinese and Koreans, Xipang was a term referring to the area along the Indian Ocean and was a space under the emperor's rule. Nevertheless, Koreans often confused Xipang, which they originally understood, with Xipang, which was newly translated by Jesuits. This is because as soon as it is translated into the language of the audience, the concept of the audience leads to an area unknown in the original language. Meanwhile, Lee Gyugyeong cited not only the atlas of Jesuits written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but also Haiguo Tuzhi written by Chinese Wei Yuan in Book Ohju Yeonmun Changjeon Sango. Among them, Xipang Yaoji was used to describe the Jesuits' history of missionary work in China and to supplement information on drugs. Jesuits expected the Chinese to reset their geographical ideas through the atlas. Therefore, the record of reading the atlas by Chinese and Koreans shows the process of finding out that their thoughts they have believed in are not complete. Research on the studies introduced by Jesuits in Joseon was conducted at a personal level. Rather than understanding Jesuits' atlas academically, Koreans treated it as a collection of strange stories or reference books necessary for natural science.

목차

1. 머리말
2. 『西方要紀』의 내용과 구성
3. 조선에서의 『西方要紀』 독서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민. (2023).『西方要紀』와 조선 지식인들의 독서. 동방한문학, (), 145-174

MLA

박혜민. "『西方要紀』와 조선 지식인들의 독서." 동방한문학, (2023): 145-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