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촌 가부장제 실행 원리로서 가족농 규범과 성 통제

이용수 29

영문명
Family Farming Norms and Sexual Control as Principles of Rural Patriarchy : Focusing on the Settlement Process of Young Women Successor Farmer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이순미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제35집 3호, 91~133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족농 규범은 농업의 부계 계승과 가족노동력을 기본 구조로 하여 농업에서 여성의 종속적 지위를 보증하는 한국 농촌사회의 핵심적인 조직 원리이다. 그동안의 농촌 젠더 연구는 주로 여성농업인의 과중한 역할과 낮은 보상을 문제시하였으나 가족농 자체를 적극적으로 문제제기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가족농 규범이 상정하는 ‘농업인’ 개념에서 벗어난 청년여성 후계농업인들의 정착 경험을 통해 가족농 규범의 실행 원리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청년여성들의 대응이 가족농 규범을 어떻게 균열하는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청년여성 후계농업인들은 가족농 규범과 성적 통제를 수단으로 하는 농촌 가부장제를 균열하는 주체들임에는 분명하나 가족주의를 자원으로 동원함으로써 가족농 규범의유지에도 일정정도 기여하고 있었다. 청년여성 후계농업인에게 부계 가족주의는 농업인되기의 자원이자 장벽이라는 양가적 의미를 가지며 동시에 농촌사회의 청년여성에 대한 성적 통제에 강하게 저항하지 못하는 배경이 되었다. 청년여성 후계농업인은 여성을 농업보조자로간주하는 지배적 규범의 압력을 일상과 모든 관계에서 직면하므로 스스로를 농업인으로 가시화하는 것은 가족농 규범에의 도전이라 할만하다. 그러나 미확정적인 승계, 가족의 안녕을 위한 자기 검열과 순응, 청년여성농업인들만의 선별적 연대는 이러한 도전이 효과적이기 어려운 제약으로 작용한다.

영문 초록

The cor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the Korean rural society is family farming norms, which guarantees the dependent status of women in agriculture by relying on the inheritance of the agricultural profession within the family and the family labor force. Previous studies on rural gender mainly focused on the excessive role and low compensation of female farmers, but there has been a limit in actively questioning the family farming itself. This study examines the principles of family farming norms and how successor who deviate from the concept of “farmer” in the family farming norms cope with the norms and cause disruptions. The analysis reveals that successor are clearly agents that disrupt the rural patriarchy by challenging the family farming norms and sexual control, but they also contribute to maintaining the family farming norms to a certain extent by utilizing family values. The family-centric ideology for successor has a dual meaning of being a resource and a barrier to becoming farmers, and it is also the background that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resist sexual control over young women in rural society. As successor face the dominant norm of considering women as agricultural assistants in their daily lives and relationships, visualizing themselves as farmers is a challenge to the family farming norms. However, uncertain succession, self-censorship and obedience for the family’s well-being, and selective solidarity among young women farmer act as constraints that make these challenges less effectiv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과 참여자 특성
Ⅳ.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순미. (2023).농촌 가부장제 실행 원리로서 가족농 규범과 성 통제. 가족과 문화, 35 (3), 91-133

MLA

이순미. "농촌 가부장제 실행 원리로서 가족농 규범과 성 통제." 가족과 문화, 35.3(2023): 91-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