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와 한부모 가구의 빈곤

이용수 68

영문명
COVID-19 and Poverty in Single-parent Families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함선유 박미진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제35집 3호, 31~6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한부모 가구의 빈곤 현황을 살펴보고 이의 설명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의 유행은 일자리 감소와 같은 노동시장의 위기와 돌봄의 위기로 이어졌는데 한부모 가구는 이 둘 모두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의 2019-2022년 가계동향조사의 분기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부모 가구 중에서도 모자가구의 빈곤율은 코로나19 이후 급증하였으며, 여타 아동가구의 빈곤율이 회복된 2021년과 2022년 상반기까지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빈곤율이 회복되지 못하였다. 코로나19 이후 증가한 빈곤율은 대체로 가구주의 취업 여부로 설명되었다. 모자가구의 경우 여타 아동가구의 어머니에 비하여 취업률이 높았으나, 코로나19 이후 미취업으로 전환된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또한 고용형태를 살펴보면, 상용직의 비중이 낮고 임시, 일용직, 1인 자영업자의 비중이 높았다. 즉, 한부모 가구는여타 아동가구가 경험한 돌봄의 위기뿐만 아니라 열악한 일자리로 인하여 경제위기에 더욱취약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2020년의 경우 가구주의 취업률로도 빈곤율 증가가 절반 정도는설명되지 않아, 취업 중인 이들의 소득 감소 역시 빈곤율 증가의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 가구에 대한 소득보장체계와 보편적 돌봄서비스의 개선 및일-양육 병행 제도의 도입 필요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st-COVID-19 poverty status of single-parent households.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to a crisi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job losses, and a crisis in caregiving, and single-parent households are expected to be affected by both crises. Analyzing quarterly data from Statistics Korea's 2019-2022 Household Survey, we found that among single-parent households, the poverty rate for mother-headed households increased sharply after COVID-19. The poverty rate of single-mother households did not return to pre-COVID-19 levels until 2021 and the first half of 2022, when the poverty rate for other child-headed households recovered. The post-COVID-19 increase in poverty rates was largely explained by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household head. Mothers in lone parent households were more likely to be employed than mothers in other child-headed households. However a much higher proportion of single-mothers became unemployed after COVID-19. In addition, the type of employment was more likely to be temporary, daily laborer, or self-employed. This suggests that lone parent households were more vulnerable to the economic crisis, not only because of the care crisis experienced by other households with young children, but also because of poor job security. In particular, in 2020, the employment rate of the head of household only explains about half of the increase in the poverty rate, suggesting that the decline in earnings of those in employment also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poverty rat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need to improve the income security system for single-parent families, universal childcare services, and the introduction of a combined work and childcare system.

목차

Ⅰ. 연구배경
Ⅱ.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선유,박미진. (2023).코로나19와 한부모 가구의 빈곤. 가족과 문화, 35 (3), 31-66

MLA

함선유,박미진. "코로나19와 한부모 가구의 빈곤." 가족과 문화, 35.3(2023): 3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