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秋史 글씨 <金福奎·金箕鍾 旌閭碑> 서예미 고찰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Chusa’s Handwriting on Gim Bok-gyu⋅Gim Gi-jong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한용화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제43호, 135~15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추사 김정희가 쓴 <金福奎·金箕鍾 旌閭碑>에 대한 서예미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러한 시도는 <김복규·김기종 정려비>가 <夏承碑>에 근저 해서 썼다는 기록에서 시작하였다. 旌閭란 충신. 효자, 열녀에게 임금이 표창하는 것을 말한다. 조선시대는 유교를 국치 이념으로 삼고, 삼강오륜에 입각하여 충신, 효자, 열녀 등을 旌閭 함으로써 백성들의 모범이 되도록 하였다. 한 집안에 정려된 사람이 있으면 정려를 나타내기 위해 정려각을 지어 그 내부에 정려비를 세우기도 하였고, 또 정려를 나타내는 旌門을 세우고 그의 정신을 기렸다. 본 논문은 첫째, <金福奎·金箕鍾 旌閭碑>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둘째, <하승비>의 역사성을 확인하고, 추사가 살았던 시대 18세기에 <하승비>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내용을 확인하였다. 셋째, 추사는 비첩을 통하여 서체의 창신을 주도한 서예가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추사는 18세기에 관심이 높던 <하승비>의 필의를 가져와 <정려비>를 썼지만, <하승비> 보다 세련된 법고창신의 서예미를 창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usa Kim Jeong-hui’s handwriting on Kim Bok-gyu⋅Kim Ki-jeong Jeongnyeobi (金福奎⋅金箕鍾 旌閭碑) and the calligraphic aesthetics. This is based on the records that Gim Bok-gyu⋅Gim Gi-jong Jeongnyeobi has its roots in Haseungbi. Jeongnyeo refers to the the king's commendation to loyalists, filial sons, and chaste women. During the Joseong Dynasty, Confucianism was the national ideology. Based on the Samgangohrun(三綱五倫) in Confucianism, loyalists, filial sons, and chaste women were commended (旌閭) so they could set an example for others. If a family member was commended, to signify the commendation, a commemorative pavilion would be built, in which there was a jeongnyeobi. Also, there would be a memorial gate (旌門) to signify the commendation and honor their spirit.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in detail Gim Bok-gyu⋅Gim Gi-jong Jeongnyeobi. The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great interest in Haseungbi during the 18th centuries when Chusa lived. Lastly, it was identified that Chusa emphasized training of rubbings (碑帖). In conclusion, although Chusa wrote the jeongnyeobi based on Haseungbi's handwriting(筆意) that received great interest during the 18th centuries, he created a new type of calligraphic beauty based on the existing Haseungbi that is even more sophisticated.

목차

Ⅰ. 서론
Ⅱ. <김복규·김기종 정려비> 이해
Ⅲ. <하승비>와의 필의적 연계성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용화. (2023).秋史 글씨 <金福奎·金箕鍾 旌閭碑> 서예미 고찰. 서예학연구, (), 135-157

MLA

한용화. "秋史 글씨 <金福奎·金箕鍾 旌閭碑> 서예미 고찰." 서예학연구, (2023): 135-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