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인 노화와 삶의 질
이용수 245
- 영문명
- Successful Aging and Quality of Life in Baby Boomers Using Modified Day Reconstruction Method (DRM)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부혜인 송종환 최윤경 이재호 이홍석 이홍표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7, 153~18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 준비,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을 토대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의 잠재유형을분류하고 잠재계층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및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며, 성공적 노화 및삶의 질 변수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연구참가자는 베이비붐 세대의 장ㆍ노년층 남녀 204명(남106명, 여 98명)이었다. 참가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일련의 자기보고식 설문과 함께 어제 하루 동안의 대표적인 일화와 기분을 묻는 질문에 응답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잠재계층, 즉 ‘미흡+정신건강문제’(계층1, 13.7%), ‘미흡’(계층2, 22.15%), 및 ‘양호’ 집단(계층3, 64.2%)이 적합한 것으로 분류되었다. 소득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와 짐이 되는 느낌은 잠재계층의 소속에 영향을 주었고 잠재계층 간에성공적 노화, 삶의 만족도, 정서적 웰빙, 일상생활에서의 정서경험에서 차이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와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심리사회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latent types of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the baby boomers, based on economic preparation,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It also aimed to identify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class membership and to compare successful aging and quality of life between latent classes. A total 204 participants (106 men and 98 women) completed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ir representative episodes and emotional experiences during each episode yesterday. The results revealed three latent classes: “mental health symptoms” (13.7%), “insufficient preparation” (22.15%), and “good preparation” (64.2%). Incom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influenced the membership of the latent class.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atent classes in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emotional well-being, and emotional experience in daily life.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to promote successful aging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mong baby boome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9 No.7 목차
- 산업 간 노동이동이 산재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소방구급대원의 위기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Sociotropic Threat and Tolerance on Minorities: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Well-being, Trust in Government and Society
- 기후위기에 대한 가치와 인식이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인 노화와 삶의 질
- Iber 모형을 이용한 편수위 발생에 따른 범람위험지역에 대한 분석
- 산불 진화대원용 방화두건에 대한 안전 성능기준 개발
- Disaster Preparedness Resources Management in the Era of Post-COVID 19 in China
- 재난불평등과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체계
-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의 호우피해 현황과 사회적 인식 변화 분석
- 협력적 위기관리 경찰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어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퇴근시간과 시간압박감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