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난불평등과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체계
이용수 186
- 영문명
- Disaster Inequality and Support System for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Group: Focusing on the Legal System and Practical Task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백정미 이창길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7,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재난 및 안전에서의 취약성이 높고 회복력이 낮아 피해가 큰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지원체계의 문제점에대해 분석하고, 법적 · 제도적 · 실천적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에서법적 · 제도적 문제점은 첫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개념 및 범위의 불명확성과 제한성, 둘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지원에 대한 제한적 법규정, 셋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안전 손실에 대한 측정의 문제, 넷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맞춤형 제도 및 지원체계 부족을 들 수 있다. 재난안전취약계층의 피해를최소화하고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법적 · 제도적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개념정립과 범위의 확대와 함께 통합적 안전관리 법제화, 둘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재난안전 대응단계별 지원체계 마련과 법제화, 셋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 피해 측정 및 체계적 관리, 넷째, 재난안전취약계층의맞춤형 제도 및 지원체계와 지역사회의 민관협력 구축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upport system for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group and prepare legal, institutional, and practical improvement plan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in support for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are: first, the unclear and limited concept and scope of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second, the limited legal stipulations for support for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third, the problem of measuring the loss by disaster and finally lack of the customized and support system for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group. A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strategy to minimize damage and increase resilience of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is as follows: first,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and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and enact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legislation; second, the establishment and legislation of customized support systems for each disaster response stage; third, systemic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damage; and fourth, public-private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for the vulnerable in disaster safe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재난안전취약계층 현황과 법적 규정
Ⅳ. 재난안전취약계층의 지원체계 문제점과 개선방안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9 No.7 목차
- 산업 간 노동이동이 산재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소방구급대원의 위기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Sociotropic Threat and Tolerance on Minorities: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Well-being, Trust in Government and Society
- 기후위기에 대한 가치와 인식이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인 노화와 삶의 질
- Iber 모형을 이용한 편수위 발생에 따른 범람위험지역에 대한 분석
- 산불 진화대원용 방화두건에 대한 안전 성능기준 개발
- Disaster Preparedness Resources Management in the Era of Post-COVID 19 in China
- 재난불평등과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체계
-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의 호우피해 현황과 사회적 인식 변화 분석
- 협력적 위기관리 경찰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어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퇴근시간과 시간압박감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