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ber 모형을 이용한 편수위 발생에 따른 범람위험지역에 대한 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Analysis of Flood Hazard Areas due to Superelevation Using the Iber Model: Focusing on Samcheok Osipche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전계원 김도진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7, 95~10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으로 태풍, 홍수 등 자연재난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하천의유량증가로 인해 만곡이 심한 하천에서 편수위 증가에 따른 범람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척 오십천 유역 하류부에 제방고 부족에 따른 월류 위험지역이 존재하는 20.8km구간부터 26km구간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하천기본계획과 비교하기 위해 하천기본계획의 경계조건을2차원 모형인 Iber 모형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천기본계획과 수위 비교 시 평균 0.45m,의수위차가 나타났으며 만곡이 심한 지점에서는 최대 1.25m의 수위차와 1.49m의 편수위차가 발생하였다. 만곡부에 편수위가 발생하는 지점의 수위, 유속, 소류력 등을 분석하여 하천범람 위험지역의 수리특성을파악하여 유속과 소류력은 비례관계를 나타내었다. 향후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만곡이 심한 하천범람위험지역에서는 1차원 모형과 2차원 모형인 Iber 모형을 적용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설계에 활용하는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Climate change is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including storms and floods. Rivers with high sinuosity are experiencing severe floods due to the heightened river discharge caused by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Samcheok Osipcheon basin (from 20.8km to 26km), where the lack of embankment height poses an overflow risk. We used the two-dimensional Iber model to analyze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basic river plans for comparison. Our findings reveal an average difference of 0.45m between the river comprehensive plan and the actual water level. At the high bend, the maximum water level difference was 1.25m, with a maximum superelevation difference of 1.49m. To better understand and utiliz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bends experiencing superelevation,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both on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Iber models for analysis and design purpo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모형의 적용 및 분석
Ⅳ.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9 No.7 목차
- 산업 간 노동이동이 산재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소방구급대원의 위기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Sociotropic Threat and Tolerance on Minorities: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Well-being, Trust in Government and Society
- 기후위기에 대한 가치와 인식이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인 노화와 삶의 질
- Iber 모형을 이용한 편수위 발생에 따른 범람위험지역에 대한 분석
- 산불 진화대원용 방화두건에 대한 안전 성능기준 개발
- Disaster Preparedness Resources Management in the Era of Post-COVID 19 in China
- 재난불평등과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체계
-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의 호우피해 현황과 사회적 인식 변화 분석
- 협력적 위기관리 경찰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어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퇴근시간과 시간압박감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