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협력적 위기관리 경찰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66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Cooperative Crisis Management in Police Activitie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조정혜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7, 67~8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행정안전부는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난관리 표준매뉴얼 개정에 나섰다. 정부는 재난안전관리체계를 현장 중심으로 개편하고 경찰-소방-지자체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현장 대응력을 키울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한편, 치안환경이 급변하고 불확실한 대형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높아짐에 따라 위기관리 단계별 경찰활동을 새롭고 체계적인 체계로 갖출 필요가 있다. 위기상황 시관리자는 우선적으로 상황을 판단하고 정책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성공적인 위기관리를 위해서는경찰 관리자 역량을 중심으로 한 리더십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미국, 독일의 위기관리체계에서 경찰의 역할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경찰의 위기관리체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협력적 리더십을 한국의 위기관리체계에서도 경찰에 필요한 리더십으로 규정한다. 또한, 위기관리 경찰활동에 필요한역량을 도출하여 향후 경찰 위기관리 역량모델 설계를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the government will come up with a reform of the existing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Establishing an organic system of cooperation between police, firefighting, and local governments to enhance the on-site response will be in the central issue of the reform. Furthermore, the rapid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and the increased possibility of uncertain large disasters make it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nhance police activities at each stage of crisis management. In addition, a leadership approach centered on police activities and police management capabilities will be crucial for successful crisis management. By examining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in the U.S. and Germany, this paper draws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police in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in South Korea and claims that cooperative police leadership is essential for that system. Moreover, this paper provides with a list of capabilities necessary for police activities in crisis management as a basi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olice capabilities model for crisis manag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해외사례로 본 위기관리
Ⅳ. 한국 경찰의 효과적인 위기관리방안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9 No.7 목차
- 산업 간 노동이동이 산재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소방구급대원의 위기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Sociotropic Threat and Tolerance on Minorities: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Well-being, Trust in Government and Society
- 기후위기에 대한 가치와 인식이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인 노화와 삶의 질
- Iber 모형을 이용한 편수위 발생에 따른 범람위험지역에 대한 분석
- 산불 진화대원용 방화두건에 대한 안전 성능기준 개발
- Disaster Preparedness Resources Management in the Era of Post-COVID 19 in China
- 재난불평등과 재난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체계
-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의 호우피해 현황과 사회적 인식 변화 분석
- 협력적 위기관리 경찰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어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퇴근시간과 시간압박감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