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지역 무덤 용어에 대한 논의

이용수 170

영문명
Discussion on the Terminology of Baekje Tombs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최성락 복문강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21호, 71~9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번 연구는 백제무덤 연구에 앞서 용어들의 개념을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출발하였다. 이에 분묘 및 고분의 개념과 분구묘 문제를 살펴보면서 그간 백제지역 무덤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분류와 명칭을 제시해 보았다. 우선 분묘는 시기성과 위계성을 막론하고 모든 무덤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고, 고분은3세기 중엽 이후 상위계층의 무덤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규정하였다. 3세기 중엽 이후 상대적으로위계성이 낮은 무덤을 묘, 위계성이 높은 무덤을 분으로 명명하였다. 한편 정치적 위상을 반영하는석축된 대형의 외부시설을 가진 일부 무덤에 한하여 총으로 규정하였다. 이와 달리 분구묘는 연구자별 및 지역별로 사용되는 개념에서 차이가 크고, 일본고고학에서 사용되는 개념과도 맞지 않아한국고고학에서 활용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백제무덤의 분류는 매장주체부의 축조재료, 형태, 구조를 기준으로 하였다. 먼저 축조재료를 기준으로 목·석·전·옹 등으로 구분하였다. 또 매장주체부의 형태인 관·곽·실 중에서출입시설의 존재 여부에 따라 곽과 실을 명확하게 설정하였다. 그리고 매장주체부의 구조에 따라수혈식·횡혈식·횡구식 등으로 나누었다. 마지막으로 3세기 중엽 이후 등장하는 우월한 위계성을 지닌 무덤을 고분 및 고총으로 설정하고, 목관분·목곽분·수혈식석곽분·횡구식석실분·횡혈식석실분·전실분·적석총으로, 하위계층의 무덤은 목관묘·석곽묘·옹관묘·적석묘 등으로 명명하였다. 또 기존 용어 중에서 이미 정착된 용어인 토광묘·횡혈묘·화장묘·주구토광묘 등은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밖에 영산강유역에서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목관고분과 옹관고분으로, 일본의 전방후원분과 유사한 고분에 대해서는 전방후원형고분으로 명명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he concept of each terminology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prior to research on Baekje tombs. Therefore, the concept of tomb (墳墓) and mounded tomb (古墳) were examined along with the problem of Bungumyo (墳丘墓), and a new classification and name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of Baekje tombs. First, the tomb was used as a collective term for all tombs, regardless of temporality and hierarchy, and the mounded tomb was named only for some tombs what hierarchy is clearly revealed after the middle of 3rd century. In addition, the tomb that appear from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but are relatively low hierarchy was defined as Myo (墓), and tomb with high hierarchy was defined as Bun (墳). On the other hand, it was defined as Chong (塚) only in some tomb with large external facility that was stoned, reflecting their political stature. On the other hand, it was judged that the Bungumyo is difficult to use in Korean archaeology because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concepts used among researchers and regions, and also a difference from the concept used in Japanese archaeology. Next, Baekje tombs are classified based on the material, shape, and structure of the burial facility. First, it was classified into wooden, stone, brick, jar according to constructive material. Next, among coffin, outer coffin, and chamber, which are the shape of the burial facility, the outer coffin and chamber were clearly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access facility, In addition, vertical style, corridor style, and open-enterance styl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urial facility. Lastly, the tombs with high hierarchy that appeared after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which is defined the mounded tombs (古墳) and high mounded tombs (古塚) were classified into wooden coffin mounded tombs (木棺墳), wooden outer coffin mounded tombs (木槨 墳), the stone lined mounded tombs with vertical style (竪穴式 石槨墳), the stone chamber mounded tomb with corrider style (橫口式 石室墳), the stone chamber mounded tomb with open-entrance style (橫穴式 石室墳), brick chamber mounded tomb (塼築墳). stone mounded tomb (積石塚), The tombs with low hierarchy were classified wooden coffin tomb (木棺墓), stone lined tomb (石槨墓), jar coffin tomb (甕棺墓), stone tomb (積石墓). However, tombs that have already been accepted universly, such as pit tomb (土壙墓), open-entrance tomb(橫穴墓), crematory tomb (火葬墓), pit tomb with the ditch (周構土壙墓) were named as they are used. In addition, a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the Yeongsan river basin, the wooden coffins mounded tombs (木棺古墳) and the jar coffins mounded tombs (甕棺古墳) were named, and the tombs similar to the keyhole-shaped tombs of Japan should be named as the keyhole-shaped style mouned tombs (前方後圓形古墳).

목차

Ⅰ. 머리말
Ⅱ. 분묘와 고분
Ⅲ. 분구묘
Ⅳ. 백제지역 무덤의 분류와 명칭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락,복문강. (2023).백제지역 무덤 용어에 대한 논의. 한국상고사학보, (), 71-95

MLA

최성락,복문강. "백제지역 무덤 용어에 대한 논의." 한국상고사학보, (2023): 7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