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등산국립공원의 부착규조류 분포와 생물학적 수질평가
이용수 76
- 영문명
- An Evaluation of Biological Water Quality and 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s in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박정원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4권 제1호, 53~6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조사는 무등산국립공원의 부착규조류 분포와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위해 모두 17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2022년 4월부터 9월까지 실시하였다. 환경요인은 수온, pH, 전기전도도, BOD, TN 그리고 TP 등을 분석하였다. 출현한 부착규조류는 모두 111종류였고, 우점종은 Achnanthes convergens,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Gomphonema clevei 등을 포함하여 모두 13종류였다. 이들 중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는 모두 11회 우점종으로 출현하여 가장 많은 출현횟수를 보였다. 생태 분류군중 청수성 분류군의 상대빈도는 20.63 ~ 99.57%, 오탁성 분류군은 0 ~ 50.08%였다. 생물학적 수질평가에서 TDI는 12.5 ~ 99.7이었고, 수질등급은 E ~ A등급이었으며, DAIpo는 38.22 ~ 99.79였으며 수질등급은 D ~ A등급이었다. 결론적으로 무등산국립공원의 가장 대표적인 부착규조는 출현횟수, 우점빈도 등에서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가 가장 대표적인 종으로 나타났다. 생물학적 수질평가는 대부분의 양호한 상태이나 일부 지점은 수환경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and biological water quality of epilithic diatoms from April to September 2022 by selecting a total of 17sites in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such as water temperature, pH, electrical conductivity, BOD, TN and TP. A total of 111 species of epilithic diatoms appear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13 species including Achnanthes convergens,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and Gomphonema clevei. Among dominant species, C. placentula var. lineata appeared as the dominant species 13times, showing the highest number of appearances. Among the ecological taxa, the relative frequencies of saproxenous group ranged from 20.63 to 99.57%, saprophilous group ranged from 0 to 50.08%. In evaluation of biological water quality, TDI was 12.5 ~ 99.7, water quality grade was E ~ A, DAIpo was 38.22 ~ 99.79, and water quality was D ~ A grade. In conclusion, the most representative epilithic diatom of Mudeungsan National Park was C. placentula var. lineata in terms of appearance number and dominance frequency.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s are mostly in good condition, but some points appear to requir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aquatic environment.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립공원연구지 제14권 제1호 목차
-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생물종의 분포모델 평가
- 글로벌 보전 목표 성취를 위한 OECM 현황 및 특성 연구
- 해상·해안 국립공원에서 수집한 야생조류 폐사체의 체내 중금속농도 분석
- 무등산국립공원의 부착규조류 분포와 생물학적 수질평가
- 경상북도 청송군과 의성군에서 관찰된 담수 돌말류 미기록종에 관한 연구
-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의 절지동물(등각류) 군집 연구
- 역사문화관광지 관광경험의 MZ세대와 X세대 간 차이 연구
- New record of Tubaria squamata (Tubraiaceae, Agaricales) in Korea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NEW
- Purification, crystallization, and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trans-aconitate 3-methyltransferase from Kluyveromyces lactis
- AlphaFold3-predicted models of the endospore coat protein SpoIVA
- Optimized visualization of liposomes: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signal-to-noise ratio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