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불피해강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이용수 119
- 영문명
- Estima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 from a Fires with Burn Severity: Focusing on the Case of 2021 Andong Wildfir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이예은 한송희 우충식 권춘근 김성용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6, 89~10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21년 2월에 발생한 안동 대형산불 피해지를 대상으로 드론영상을 이용하여 산불 피해강도를 심(수관화), 중(열해), 경(지표화) 3단계로 구분하고, 피해강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인기용 다중분광센서를 이용하여 산불피해지를 촬영하였으며, 산불발생 전Sentinel-2A 위성영상과 산불발생 후 드론영상의 NDVI 차이를 그룹화하여 피해강도를 분류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해 피해강도별 지표층 및 수관층 연료 손실량을 파악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영상분석을 통한 총 피해면적은 350ha로 추정되었으며, 이 중 심피해지는84ha, 중피해지는 125ha, 경피해지는 141ha이었다. 산불 피해강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추정한결과, 심피해지에서는 ha당 약 15.40t, 중피해지에서는 ha당 약 4.92t, 경피해지에서는 ha당 약 4.69t이배출되었으며, 2021년 안동산불로 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은 약 2,570t으로 추정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carbon dioxide emission from the 2021 Andong forest fire was analyzed with burn severity, which was classified into high(crown fire), moderate(heat damage), and low(surface fire). Drone videos of the wildland fire area were taken using a multispectral sensor based on UAV and classified by grouping the differences in derived NDVI values between satellite images before the fire and UAV images immediately after the fire. Fuel load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 from forest fires were estimated through field investigation of each burn severity sit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otal burned areas were calculated to be 350ha, of which H(crown fire), M(heat damage), and L(surface fire) were to be 85ha, 125ha, and 141ha, respectively. 15.40ton/ha fire carbon dioxide in H(crown fire), 4.92ton/ha in M(heat damage), 4.69ton/ha in L(surface fire) were emitted from the fire. The total amount of carbon dioxide emitted by the Andong forest fire in 2021 was estimated to be 2,570 tons.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행위중독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Changing ROK Military Service System
- 초점사건 이후의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재난피해자의 우울증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에티오피아 티그라이지역 출산 여성의 모자보건에 대한 경험
- 청년의 고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 충남지역 리기다소나무림의 지표층 산불 연료 특성 분석
- 산불피해강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 공공기관의 안전보건경영체계 도입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관리 영향분석
- 지역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책대안 우선순위 분석
- 산사태 취약지역 정밀점검표 개발
- Crisisonomy Vol.19 No.6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