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난피해자의 우울증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0
- 영문명
- A Empirical Analysis of Depression and PTSD on Disaster Victims’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Resilenc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상임 김보인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6, 15~3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발생하는 재난은 피해양상이 복잡하고 다양화, 대형화되고 있다. 재난이 발생하면 물질적 피해뿐만아니라 심리적·정신적인 피해를 동반한다. 이러한 심리적·정신적인 피해는 결국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심리적·정신적 피해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위해 공동체 탄력성에 주목하였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주요분석결과는 첫째, 삶의 질에우울증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공동체 탄력성은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삶의 질에 우울증과공동체 탄력성의 상호작용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공동체 탄력성의 상호작용은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난피해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재난피해자의 우울증을 낮추는 노력과 함께 공동체 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재난피해자의 우울증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공동체 탄력성은 각기 다른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재난피해자의 심리적·정신적인 피해상태에 따른 공동체 탄력성의 차별적인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관련된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Disaster victims are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and mental damage, and this damage is analyzed as a risk factor that significant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in order to recover psychological and mental damag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focused on community resili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empirical result showed, first,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community 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community resili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PTSD and community resilience has a positive effect.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efforts to reduce depression and enhance community resilience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disaster victims. community resilience has different moderating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and between depression and PTS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application of community resilience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damage conditions of disaster victim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론
Ⅳ. 연구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점사건 이후의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재난피해자의 우울증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지역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책대안 우선순위 분석
- 청년의 고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의 안전보건경영체계 도입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관리 영향분석
-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Changing ROK Military Service System
- 산사태 취약지역 정밀점검표 개발
- 에티오피아 티그라이지역 출산 여성의 모자보건에 대한 경험
- 대학생의 행위중독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 충남지역 리기다소나무림의 지표층 산불 연료 특성 분석
- 산불피해강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 Crisisonomy Vol.19 No.6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