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극예술의 판소리 수용과 창극의 진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Acceptance of Pansori in Contemporary South and North Korean Dramatic Performance and the Direction of Changguk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정병헌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17집, 327~36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ansori is a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It has character of literature, music, drama. So, it made pansori-novel, Sanjo, Changguk and Madangguk(Field Drama). The Revolutionary musical drama in North Korea is also influenced by Pansori. This work aimed to set the desirable direction of Changguk by comparing South abd North Korean Dranatic Performance.
Changguk is formed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y century by the great Pansori singers. So Changguk has many characters of Pansori, but is not Pansori itself. Because Changguk is already changed to drama. Many Pnsori singers established the Rearch Institution of Chosun's Vocal Music in 1933, and made many manifold repertories of Changguk. The representative leader, Jeong Jungyul, made diverse exercise of Changguk, so most practicable frame was formed at that time.
The Korean political situation of 1970' is reflected in the Madangguk(Field Drama). That genre satirized a dictatorship and many people liked it passionately. Pansori is the basic source of Madangguk, so many elements are similar to Pansori genre. The reason why many Pansori singers participate in that performance.
The Revolutionary Musical Drama is made by the North Korean artists. Pansori and opera were concerned in the creation of that genre. The representative masterwork, 'Bloody Sea' is performed at 1971, and Pansori was disappeared in North Korea. Because the dictator, Kim Ilsung, was averse to the musical provisions of that genre, but that spirits is remained at themes and characters of the Revolutionry Musical Drama,
We can come up with the answer to the desirable direction of Changguk in the exercises of Madangguk, Changguk and Revolutionary Musical Drama. However that performances are based on the principles of Pansori, so Changguk should have a original Korean frame.
목차
Ⅰ. 머리말
Ⅱ. 창극의 형성과 변화
Ⅲ. 판소리의 긍정적 계승
Ⅳ. 북한 극예술의 판소리 수용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간사
- 연변 지역 판소리의 전승 현황
- 명창 박록주의 소리세계
- 홍윤표 소장 154장본 <춘향전> 연구
- 남북한 극예술의 판소리 수용과 창극의 진로
- 한국전쟁 소재 연변판소리 “떡메의 증오”의 음악적 고찰
- 뺑덕어미 삽화의 더늠화 양상과 의미
- 창작판소리의 음악 짜임새
- 판소리 명창 김연수론
- 김추월의 음악활동과 소리 특징
- 판소리 장단의 형성과 오성삼의 고법이론
- 창작 판소리 사설의 직조방식
- <토끼전·水宮歌>의 人物形象
- 판소리 자료 전산화 및 판소리 사전 편찬을 위한 통합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판소리의 교육현황과 발전방안
- 丁貞烈 論
- 유성기음반 판소리 사설(8)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