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의 고제・중고제・신제

이용수 17

영문명
Old and New Style of Pansori Epic Chants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배연형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55집, 103~160쪽, 전체 5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9,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회적인 환경의 변화에 따라 남성 위주의 전통적인 옛날식 고조 판소리와대중화・여성화된 신조 판소리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1930년대로 접어들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특히 권번 중심으로 활동하던 여성명창들은 판소리와 잡가(민요)를 함께 불렀으므로 서로 음악적인 섞임이 일어나판소리 역시 잡가의 음악적 요소가 많이 가미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제와신제 소리는 차이는 더욱 크게 벌어졌다. 판소리는 극장이나 권번에서 대부분짧은 도막소리로 불리면서 대중가요와 같은 성격을 지니게 되었으며, 유성기음반에 취입된 짧은 판소리는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누렸다.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옛날식 소리와 새로운 소리로 인식되었다. 나중에는 남성중심의 씩씩한 발성의 전통적인 판소리와 여성 중심의 섬세하고 서정적인 표현이 강조되는 판소리로 구분되면서, 새로운 소리에 대한 부정적인 비판이 따랐다. 1930년대 이후에 활동하기 시작한 새로운 세대는 남녀의 구분 없이 대중화・잡가화・가요화・계면화된 판소리를 부르기 시작했다. 고조와 신조의 차이는 음악적인 차이로 인식되면서 동조와 서조라는 개념을 낳게 되었다. 이것이 나중에는 고조의 영향을 받은 초기 영남출신 여류명창과 1930년대 이후 신조의 영향을받은 호남출신 명창들의 서울로 진출하면서 정노식은 이것을 지역적인 차이로 인식하여 동편과 서편이라는 용어를 만들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theory suggested by Pansori style Jeong No-sik accepts Pansori style is an important concept for distinguishing musical characteristics or understanding history. Jeong No-sik divides the big branches of Pansori into Eastern, Western, and Old Style (Junggojae). In the Joseon Dynasty, the concept of Pansori style did not appear, but only simply highlighted personal characteristics. After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social status society was dismantled and modern theater and Kwenbean music schools were established, and Pansori underwent a complete reorganization process. Pansori became popular with the entrance of the theater, and feminization acceler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Kwenbean music school in 1917. Factors in the change in Pansori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theaters, the development of railroads, and the introduction of Kwenbean music schools. Before 1920, most female Pansori singers came to Seoul from the Yeongnam region where the Seoul-Busan railroad (1905) was opened. As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ale-oriented traditional Old Style Pansori and popularized and feminized New Style Pansori, and this trend accelerated further in the 1930s. In particular, female singers who were active in Kwenbean music schools sang Pansori and folk song (Japga), so there was a musical mix between them, and Pansori also added many musical elements of Japga, a lyrical song. Over time, the difference between Old and New Style increased. Pansori was mostly sung as a short song in theaters and Kwenbean music schools, and it became like a popular song; short Pansori recorded on 78rpm disks enjoyed great popularity with the public. To illustrate this change, it was initially recognized as Old Style and New Style. Negative criticism of the new sound later followed as it was divided into traditional Pansori with male-centered sonorous voice and Pansori with female-centered delicate and lyrical expressions emphasized. The new generation, which began to be active after the 1930s, began to sing popularized, folk song style, and Kyemuon style Pansori regardless of gender.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ld and new styles was recognized as a musical difference, the directional concept of east and west music styles was created. Later, as it advanced to Seoul via female singers from the early Yeongnam region influenced by Old Style and singers from Honam region influenced by the New Style after the 1930s, Jeong No-sik recognized this as a regional difference and coined the term east and west.

목차

1. 서론
2. 개화기 판소리 사회의 인적 변화
3. 여성의 음악 활동과 판소리
4. 변화하는 음악과 유성기음반의 취입
5. 판소리 소리제에 대한 인식
6. 고조・중고조・신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연형. (2023).판소리의 고제・중고제・신제. 판소리연구, (), 103-160

MLA

배연형. "판소리의 고제・중고제・신제." 판소리연구, (2023): 103-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