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노년기 기혼남녀의 배우자 사별 관련 문제에 대한 지각과 사별 불안 간 관련성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04
- 영문명
- Associations between Perceptions of Spousal Bereavement-Related Problems and Spousal Bereavement Anxiety among Middle-Aged and Older Married People: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유계숙 박하영 송금란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2호, 123~1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overall trends of perception of spousal bereavement-related problems and anxiety related to spousal bereavement among middle-aged and older married men and wome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eir relationship.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431 married men and women aged 50 and over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metropolitan areas, and t-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4.1.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n had a higher level of spousal bereavement anxiety than women. As for the perceptions of spousal bereavement-related problems, men were more worried about dependence on the spouse, loneliness, and feelings of being abandoned than women, who were more worried about living expenses, financial security, and economic independence than men. Secondly, men had a higher level of spousal bereavement anxiety according to a greater dependence on the spouse whereas women had a higher level of spousal bereavement anxiety according to a greater dependence on the spouse and loneliness. Finally, gender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s between perceptions of spousal bereavement-related problems and spousal bereavement anxiety. The perceptions of spousal bereavement-related issues had more impacts on spousal bereavement anxiety in women than men.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institution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to anticipate difficulties related to spousal bereavement in middle and old age from a gender perspective and to enable stable and autonomous lives even after berea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주식 휠체어 사용자 관점의 편의점 접근성 실태 평가 및 접근성맵 제작
- 가상현실(VR) 상호작용성에 따른 촉각적 심상화가 이중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친구관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분석
- 의복 여유량 산출을 통한 남성복 재킷 패턴 제도 공식의 정확성 검증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한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에 대한 예측모형
- 중·노년기 기혼남녀의 배우자 사별 관련 문제에 대한 지각과 사별 불안 간 관련성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시판 과채류 음료의 당 함량
- 취약계층의 디지털 바이오마커와 개인 행복의 관계
-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의생활 체험용 업사이클링 DIY 키트 개발 : Subtraction Cutting을 중심으로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20-40대 한국 남녀 성인의 밀키트 이용실태와 영양지수
- 경제적 어려움이 청소년의 외로움 및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소통․협력의 조절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잠재프로파일 분석에 따른 중학생의 교우관계 특성 유형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아동이 경험하는 부모의 사랑에 관한 연구
-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