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취약계층의 디지털 바이오마커와 개인 행복의 관계
이용수 75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Biomarkers and Personal Happiness of the Disadvantaged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손민근 윤장기 이현정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2호, 75~9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As part of a larger study on predicting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disadvantaged using digital biomark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digital biomarkers (e.g., amount of physical activity, smartphone overuse, and sleeping time collected via smartphones) with the personal happiness of the disadvantaged. Furthermore, it suggests application points for housing welfare field practice. Methods: Using the Dr FoRest smartphone applica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five types of digital biomarker (i.e., GPS, GYRO, DATA, TOUCH, and SLEEP) from 192 participants recruited from two public permanent apartment complexes in November 2022. In addition, it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the Happiness Scale and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biomarkers and personal happiness using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bivariat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igital biomarkers can predict happiness with relatively high explanatory power. Second, the study observed a tendency in which happines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walking and sufficient sleep and the decrease in smartphone use. Third, the majority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g., gender, receipt type, disability status, degree of disability, and household size), except for age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sonal happiness. Conclusion/Implications: First, a system that can extend the use of digital biomarkers needs to be established. Second, investing in and expanding programs or facilities that can naturally increase physical activity and reduce smartphone use are necessary measures for enhancing personal happiness. Finally, improving quality of sleep through efforts to mediate or solve this issue by providing customized counseling programs or mediating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are favorable interventions given the influence of sleep conditions on personal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상현실(VR) 상호작용성에 따른 촉각적 심상화가 이중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친구관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분석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한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에 대한 예측모형
- 의복 여유량 산출을 통한 남성복 재킷 패턴 제도 공식의 정확성 검증
- 자주식 휠체어 사용자 관점의 편의점 접근성 실태 평가 및 접근성맵 제작
- 중·노년기 기혼남녀의 배우자 사별 관련 문제에 대한 지각과 사별 불안 간 관련성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시판 과채류 음료의 당 함량
- 취약계층의 디지털 바이오마커와 개인 행복의 관계
-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의생활 체험용 업사이클링 DIY 키트 개발 : Subtraction Cutting을 중심으로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연잎 분말을 첨가한 열무 물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특성 변화
- 디저트 선물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오프라인 디저트 선물 중심으로
- 여성 리더의 공감리더십이 호텔종사원의 LMX, 조직애착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