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판 과채류 음료의 당 함량
이용수 44
- 영문명
- The Sugar Contents of Commercially Available Fruit and Vegetable Beverag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문주윤 손은지 주지형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2호, 109~12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High sugar intake among Koreans is primarily attributed to beverages, including fruit and vegetable (FV) beverag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ugar content of commercially available FV beverages. Methods: A total of 159 FV beverages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and July 2021 and categorized based on nutritional labeling availability, mandatory labeling status, and the main ingredients. Sugar content and serving size were recorded for products with nutritional labeling, while the standardized Somogyi method was used to analyze sugar content for products without labeling. Results: Unlabeled products (N=45) had higher sugar contents (10.5 g/100 mL, 17.7 g/serving size) than labeled products (N=114, 8.1 g/100 mL, 12.8 g/serving size). The difference was pronounced for products containing FV mixture as the main ingredient (25.7 g/serving size for unlabeled products, N=20; 14.3 g/serving size for labeled products, N=58), with unlabeled FV mixture-based products exceeding 50% of the recommended daily intake (less than 50 g for 2,000kcal). Mandatorily labeled products (N=75) had higher sugar content (8.6 g/100 mL, 14.4 g/serving size) than voluntarily labeled products (N=39, 7.1 g/100 mL, 9.7 g/serving size). Fruit-based (N=30) and FV mixture-based products (N=58) contained more sugar (13.4-14.3 g/serving size) than vegetable-based products (N=26, 7.1 g/serving size). The sugar content exceeded the recommended daily intake (50 g) in more than 3.3 servings of mandatorily labeled products containing fruits or FV mixture as the main ingredient (15.1 g sugar/serving size) and in more than 4 servings of voluntarily labeled products containing FV mixture as the main ingredient (12.4 g sugar/serving siz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ugar content in FV beverages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examining nutritional labeling availability, sugar content, serving size, and main ingredients during FV beverage selection, along with expanding both voluntary and mandatory nutritional labeling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상현실(VR) 상호작용성에 따른 촉각적 심상화가 이중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친구관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분석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한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에 대한 예측모형
- 의복 여유량 산출을 통한 남성복 재킷 패턴 제도 공식의 정확성 검증
- 자주식 휠체어 사용자 관점의 편의점 접근성 실태 평가 및 접근성맵 제작
- 중·노년기 기혼남녀의 배우자 사별 관련 문제에 대한 지각과 사별 불안 간 관련성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시판 과채류 음료의 당 함량
- 취약계층의 디지털 바이오마커와 개인 행복의 관계
-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의생활 체험용 업사이클링 DIY 키트 개발 : Subtraction Cutting을 중심으로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연잎 분말을 첨가한 열무 물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특성 변화
- 디저트 선물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오프라인 디저트 선물 중심으로
- 여성 리더의 공감리더십이 호텔종사원의 LMX, 조직애착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