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용인과 활동지원사 FGI를 통한 장애인활동지원사업 만족도 및 요구도 탐색

이용수 175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Satisfaction and Demand for Disabled Persons and Personal Assistant Services Assistants through FGI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정원미 선미정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제27권 제2호, 133~176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업의 양적 팽창을 넘어 질적 확대가 요구되는 시점에서 이용인과 활 동지원사들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 활동 지원서비 스 이용인 5명, 장애인 활동지원사 5명으로 2개 그룹 10명을 대상으로 초점면접조사(FGI)를 실시하 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활동 지원서비스 이용인의 경우 활동 지원서비스 이용인 교육이 활 동지원 서비스 초기보다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서비스이용 만족도가 높은 영역은 사회활동 지원과 관련한 부분이었다. 서비스 대상, 단가, 활동지원사 관리와 교육 측면에서 다양한 개선사항이 확인되었으며 활동 지원서비스는 장애인의 자립 생활에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한 제도임이 도출되었다. 활동지원사의 경우 서비스 지원 과정을 통한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대, 이용인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일의 기쁨과 보람, 서비스 지원 과정에서의 인권침해와 감정노동, 형식적인 의무교육과정, 적절하지 않은 서비스 인정시간, 매칭 초기 적응 기간 및 장애아동 보호자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활동지원사업 개선사항과 활성화 방안 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grasp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needs of users and activity support companies at a time when qualitative expansion beyond quantitative expansion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for the disabled is required. To this end, a focus interview (FGI) was conducted on 10 people in two groups, 5 users of the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and 5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assistant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us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sonal assistant service user training course was proceeding systematically compared to the early days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and the area with high service use satisfaction was related to social personal assistant. Various improvements were confirmed in terms of service target, unit price, personal assistant company management and education, and personal assistant service was found to be the most essential and important system for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In the case of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companies, positive awareness of the disabled through the service assistant process, joy and worth of work based on trust with user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emotional labor in the service assistant process, formal compulsory education courses, The need for service recognition time, initial adaptation period for matching, and parental education for guardia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the disabled personal assistant service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원미,선미정. (2023).이용인과 활동지원사 FGI를 통한 장애인활동지원사업 만족도 및 요구도 탐색. 재활복지, 27 (2), 133-176

MLA

정원미,선미정. "이용인과 활동지원사 FGI를 통한 장애인활동지원사업 만족도 및 요구도 탐색." 재활복지, 27.2(2023): 133-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