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태권도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과 학생선수의 스포츠 능력믿음 및 의도적 연습의 인과적 관계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of Taekwondo Coaches’ Feedback Types, Student-Athletes’ Sport Ability Belief and Deliberate Practice
- 발행기관
- 세계태권도문화학회
- 저자명
- 하정희 윤상용
- 간행물 정보
-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14권 3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 feedback types, sports ability beliefs, and deliberate practice among high school Taekwondo athletes. The participants were 287 athletes affiliated with high school Taekwondo clubs (184 males, 103 femal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ly, corrective feedback among coach feedback types influenced the subfactors of sports ability beliefs, specifically learning and improvement (incremental belief), while negative feedback influenced safety and talent (entity belief). Secondly, both corrective and negative feedback typ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liberate practice. Thirdly, the subfactor of learning and improvement (incremental belief) within sports ability belief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liberate pract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aches using corrective feedback are most desirable in promoting athletes' incremental belief and deliberate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태권도 수련생의 운동몰입이 운동지속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신경근 훈련이 태권도 시범선수의 순발력과 및 평형성 기능에 미치는 효과
- 세계태권도한마당 경기의 활성화 방안
- 해양스포츠체험이벤트 참가자의 만족도가 지역사회의식, 지역사회발전,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그릿 영향 요인
- 요트대회 개최지의 지역 이미지가 지역발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PageRank 알고리즘 활용한 태권도 선수들의 랭킹 산정
- 태권도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과 학생선수의 스포츠 능력믿음 및 의도적 연습의 인과적 관계
-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4권 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인자에 관한 추적 조사
- 장애인의 신체활동 참여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자율성 동기의 역할: 스코핑 리뷰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스포츠 이벤트 관중의 지각된 기능적 가치, 소비감정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Mehrabian-Russell 모델을 통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제16권 제1호 목차
- 스포츠 인공지능 활용의 서비스 가치, 신뢰, 심리적 반응의 관계: 야구 자동투구판정(ABS) 시스템 경험 선수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