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주민 식량권(Right to Food)에 대한 북한과 국제사회의 책임

이용수 92

영문명
The Right to Food in North Korea: Assessing the Responsibiliti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North Korean Authoritie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공공정책연구소
저자명
박성열 이철 권진아 정원희
간행물 정보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Vol.9 No.1, 93~137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제규범상 식량권 개념과 책임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북한과 국제사회가 북한 주민들의 식량권 보장과 관련된 의무를 이행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세계인권선언과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 위원회 등 국제규범은 개인의 식량권 보장 및 국가와 국제사회의 책임을 명시하고 있다. 북한은 최고 지도자의 지침, 포전담당제 등 식량 생산성 제고방안, 당 농업부와 내각 농업위원회 신설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으나 성과는 좋지 않다. 이는 북한 당국이 필요한 자본과 기술력을 투입하지 못한 채 자력갱생을 내세워 과거처럼 노동력 동원만을 강조하고 국제사회로부터의 식량 도입도 차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시장은 주민들의 식량 획득성을 높이고 있으나, 당국의 식량 수매와 분배에 대한 통제가 여전하고 시장 진입이 어려운 주민들의 식량권을 보장하기 어렵다. 국제사회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식량난 해소를 지원해왔으나, 북핵 문제로 인한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와 코로나-19 계기 북한의 봉쇄에 막혀 식량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북한과 국제사회 모두 실제적으로 북한주민 식량권 보장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 주민 식량권 보장을 위해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인도적 지원에 대한 유엔의 제재 면제 조치를 활용하고 지원시 분배의 투명성을 사전 확보해 유엔기구와 국제 NGO의 지원을 재개하는 것이다. 둘째, 북한에 주민 식량권에 대한 책임을 압박하면서 외부 지원을 수용토록 하고 유엔 SDGs와 연계해 북한 농업기반 강화와 식량 증산을 추진하는 것이다. 셋째, 북한의 식량 사정을 정확히 파악하고 중장기적으로 식량 생산성 제고를 위해 국제기구와 개별국가가 함께 참여하는 가칭 ‘한반도 농업개발기구’나 ‘동아시아 인도협력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식량권은 핵심 인권으로서 개인의 생존과 생활에 필수적이다. 책임 있는 주체들 간 협조하여 북한 주민 식량권 보장 방안이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fulfillment of obligations related to the right to food for the people of North Korea, considering the concept of the right to food and responsibility under international norms. The research aims to determine whether Nor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adequately meeting their obligations in guaranteeing the right to food. International norms, such as the UN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delineate the individual’s right to food and the corresponding responsibilities of stat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orth Korea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enhance food production, including guidelines from the Supreme Leader, initiatives such as the field-respinsibility-system (po-jeon damdangje) that incentivizes farmers, and the upgrading of agricultural institutions. However, these efforts have yielded unsatisfactory result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emphasis on self-reliance, labor mobilization, and resistance to accepting food aid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ve hindered progress. While the presence of markets in North Korea has increased access to food, government control over food purchase and distribution persists, posing challenges in guaranteeing the right to food for those unable to access the marke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provided support to address North Korea’s food crisis since the mid-1990s. However, the imposition of UN and US sanctions due to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coupled with the COVID-19 pandemic, has hindered the provision of food aid. The combination of sanctions and North Korea’s political blockade further impedes the realization of the people’s right to food. Despite outward appearances, both North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ve failed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in guaranteeing the right to food for North Koreans. Consequently, this study offer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ensuring the right to food for the North Korean people. Firstly, it proposes resuming humanitarian support from UN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NGOs, utilizing the UN sanctions waiver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US, and ensuring transparency in aid distribution. Secondly, it recommends urging North Korea to accept external support, such as from the FAO, to strengthen their agricultural base and increase food production, aligning with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Lastly, it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 collaborative entity, tentatively named the “Korean Peninsula Agricultural Development Organization” or the “East Asia Humanitarian Cooperation Council,” which would enable accurate assessment of North Korea's food situation and work towards improving long-term food productivity. Given that the right to food is a fundamental human right crucial for individual survival and well-being, it is imperative that the responsible parties collaborate to ensure the guarantee of this right for the people of North Korea.

목차

Ⅰ. 서론
Ⅱ. 국제규범상 식량권 개념과 내용
Ⅲ. 북한 주민의 식량권은 보장되는가?
Ⅳ. 북한 당국의 주민 식량권에 대한 대응
Ⅴ. 국제사회의 북한 주민 식량권에 대한 대응
Ⅵ. 분석 결과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열,이철,권진아,정원희. (2023).북한주민 식량권(Right to Food)에 대한 북한과 국제사회의 책임.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9 (1), 93-137

MLA

박성열,이철,권진아,정원희. "북한주민 식량권(Right to Food)에 대한 북한과 국제사회의 책임."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9.1(2023): 93-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