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실가스 배출권 재무공시 현황 및 시사점
이용수 120
- 영문명
- A Review of the Financial Disclosure on the Carbon Credits and Emission Li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회계정보학회
- 저자명
- 윤양인
- 간행물 정보
- 『재무와 회계정보저널』제23권 제2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 및 배출부채 등 온실가스 회계처리및 공시와 관련된 현황을 점검하고, 개선안과 시사점을 도출하여 온실가스 관련공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회사 중 온실가스 무상할당량이 많은 상위 회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분·반기보고서상 온실가스 관련 회계처리 및 주석공시 사항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보이용자 입장에서 불명확한 부분이나 추가 공시가 필요한부분의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공시현황을 분석한 결과 회사들이 준용하고 있는 K-GAAP 온실가스 회계처리와 다소 차이가 있는 항목들이 존재하였다. 배출권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음에도 배출부채를 배출권보다 많이 설정한 사례가 있으며, 회사가 배출부채산정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배출권 가격이 회사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그밖에도 배출부채 추정 대상 기간의 범위, 유동·비유동 구분 및 표시방법, 배출권선매각 관련 거래공시, 배출권의 원가흐름 가정 등에 있어 회사별로 공시 방식이다르며, 적용 기준도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국내 회사의 온실가스 배출권 관련 재무제표상의 공시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선행연구가 존재하고 있다. 정량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선행연구와차별화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성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접근하여 개별 공시사례가정보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기능하는지 평가하였다. 정보이용자 측면에서 개선안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implications and the improvements of the financial disclosure of the carbon emissions and the carbon credits.
[Methodology]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financial disclosure of the companies which have large quantities of carbon emissions from accounting users’ perspectives. This study covers financial disclosures, including financial statements and their notes on their annual and quarterly reports.
[Findings] This paper documents the gaps between the K-GAAP and the current disclosure practice. There is inconsistency between the carbon credits and carbon liabilities. There are wide deviations across companies with respect to the unit price of carbon credit when companies estimate the amounts of their carbon liabilities. The paper also proposes additional disclosure for the carbon liabilities and cost flow assumptions, etc.
[Implication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that is focused on quantitative analysis, this paper reviews the quality of the carbon related disclosures. This study provides proposals that can enhance the usefulness of carbon disclosure to the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관련 제도
Ⅲ. 표본 선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NEW
- 조직의 신뢰관계가 몰입과 만족도를 매개하여 역량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무형식 학습을 매개하여 기업의 맥락적 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SG경영이 기업평판, 기업지지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