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환여승람』의 편찬과 그 의미

이용수 48

영문명
Joseonhwanyeoseungram’s Compilation and Its Meaning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김경수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47권, 217~25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6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편찬되기 시작한 조선시대 대부분의 관찬 및 사찬 읍지는 『동국여지승람』의 체재를 모방하였다. 충남 공주 출신의 유학자 이병연(李秉延, 1894~1977, 본관; 연안)이 전국 각 지역(129개 군) 유림들의 협력과 별도로 구성한 취재원의 도움을 받아, 자연 환경과 인문 환경 등을 망라하였던 『조선환여승람』 역시 『동국여지승람』의 체재를 수용하였다. 이전 시기 지리지의 체제를 수용하였지만, 내용 서술은 찬자의 의도에 따라 취사선택된 면이 적지 않다. 무엇보다 이전 시기 지리지에 수록된 인물이 다시 수록되기도 하였지만, 전반적으로 상당히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찬자의 기준에 따라, 수록 인물의 편차 등 큰 변화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특히 편찬과정에서 지역의 유림들과 적극적인 소통 및 협력을 통해 진행했다는 점과 인물이 과하다 할 만큼 방대하게 수록되었다는 점은, 이전 시기의 지리지와 상당한 차별성을 지닌다. 『조선환여승람』은 각 군의 현황을 정리한 개별 읍지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면서, 하나의 체재로 묶음으로써, 전국적인 현황 파악이 가능한 전국지로서의 특징을 견지하고 있다. 무엇보다 사학사적인 면에서 볼 때, 이전 시기의 읍지 편찬 규범을 준용하였지만, 20세기 시대상황을 서술하는 과정에서 차별성을 견지했다는 점에서 사학사적 의미 부여가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된다.

영문 초록

Most of the officially and privately published eupji(邑誌) in the Joseon Dynasty, which began to be compiled in earnest from the late 16th century, imitated the format of Donggukyeojiseungram(『東國輿地勝覽』). Joseonhwanyeoseungram(『朝鮮寰輿勝覽』) written by Lee Byung-yeon(李秉延, 1894~1977, family clan; Yeonan), a Confucian scholar from Gongju, Chungcheongnam-do, also accepted the format of Donggukyeojiseungram. He wrote the book covering th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with the help of a separately organized reporter and the cooperation of Confucian scholars from each region (129 counties) across the country. Although this book accepted the compiling system of the geographies of the previous period, the contents were parti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author's intention. Most of all, although some of the figures included in the geographies of the previous period were re-included, this book shows quite large differences overall from the previous one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author, this book differs greatly from the previous ones specially in terms of recorded persons.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compil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Confucian scholars of the region and the fact that the characters were included in an excessive amoun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geographies of the previous period. Joseonhwanyeoseungram has at first glance the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eupji that summarizes the current status of each county, but maintains in the end the characteristics of a national geography that can grasp the current nationwide situation by bundling it into one format. Above all, from a viewpoint of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this book is meaningful in that it maintains differentiation in describing the situation of the 20th century, although it applied the format norms of compiling the eupji of the previous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편찬 목적과 편찬 체재
Ⅲ. 편찬 내용
Ⅳ. 맺음말: 의미와 성격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수. (2023).『조선환여승람』의 편찬과 그 의미. 한국사학사학보, (), 217-250

MLA

김경수. "『조선환여승람』의 편찬과 그 의미." 한국사학사학보, (2023): 217-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