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00년 이후 ‘방리유 영화’ 공간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Étude sur l’Espace de trois films des banlieues depuis 2000:L’Esquive(2003) d’Abdellatif Kechiche, Dheepan(2015) de Jacques Audiard et Les Misérables(2019) de Ladj Ly
발행기관
한국프랑스문화학회
저자명
박지회
간행물 정보
『프랑스문화연구』제57집, 117~14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타자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는 방리유를 배경으로 한 2000년 이후 영화 세 편을 선택하여 공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민자 사회의 재현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프랑스 사회와 문화에서 수도와 방리유 사이에는 명백한 대립이 존재하며 방리유 영화는 이를 소수 인종의 관점에서 재현함으로써 프랑스 사회가 불편해하는 현실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분석 작품으로는 방리유에 대한 편견을 변화시킨 것으로 평가받는 압델라티프 케시시의 <레스키브>, 그에 반해 방리유 영화의 전형적 요소들을 고수한 라지 리의 <레 미제라블>, 방리유에 사는 스리랑카 난민의 헌신적인 사랑을 다룬 자크 오디아르의 <디판>을 선택하였다. 비교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한 이 세 작품에 대한 공간 분석을 통해 감독의 이주 경험과 방리유를 바라보는 감독의 시선에 따라 시테 재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Cette étude vise à examiner la représentation des communautés immigrées du point de vue spatial en choisissant les trois films datant des années 2000 dont l’action se déroule dans une banlieue, perçue comme un “espace de l’Autre” depuis les années 1980. Aujourd’hui, il existe une opposition évidente entre la capitale et les banlieues, et le ‘Cinéma des banlieues’ est un moyen important de manifester une réalité cachée en représentant cette opposition du point de vue minoritaire. On a choisi comme objet d’analyse les films L’Esquive d’Abdellatif Kechiche, Dheepan de Jacques Audiard et Les Misérables de Ladj Ly. L’Esquive est apprécié pour sa nouveauté en changeant une image de la Cité que le Cinéma des banlieues a créée auparavent. Dans ses films, on peut voir la Cité décrite comme paisible et calme ainsi que la mise en valeur des personnages féminins. Par contre, Les Misérables maintient les codes typiques comme le conflit entre les jeunes de la Cité et la police, un impact négligeable des femmes sur la narration. Ce film nous rappelle La Haine de Mathieu Kassovitz qui se considère comme typique de Cinéma des banlieues. Enfin, la Cité représentée par Dheepan est identique à l’image que les grands médias français continuent de reproduire concernant les sociétés immigrées des banlieues. L’analyse de ces trois films, abordée dans une perspective spatiale et comparatiste, révélera que même au sein de la catégorie ‘Cinéma des banlieues’, il existe des différences significatives entre ces films en termes de représentation des communautés immigrées, de regard des réalisateurs sur celles-ci et de leurs attitudes à l’égard des problèmes de la banlieue. Ces différences, qui les distinguent du Cinéma des banlieues d’avant 2000, confirment l’évolution et l’expansion de ce dernier.

목차

1. 들어가며
2. ‘안(dedans)’의 공간: 집
3. ‘밖’(dehors)의 공간: 시테(Cité)
4. 사회적 공간: 학교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회. (2023).2000년 이후 ‘방리유 영화’ 공간 연구. 프랑스문화연구, (), 117-141

MLA

박지회. "2000년 이후 ‘방리유 영화’ 공간 연구." 프랑스문화연구, (2023): 117-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