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의 초과근무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38
- 영문명
-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vertime Work of Public Servants in Korean Government: Focusing on Work, Commitment, Pay, and Career Stage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권태욱 윤영근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2권 제2호, 49~7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의 초과근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경험적 증거를 확보해 초과근무 및 관련 문제의 개선에 필요한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행정연구원의「2020년 공직생활 실태조사」자료를 로지스틱 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업무 자율성이 낮다고 인식하거나, 조직몰입 수준이 높거나, 혹은 보수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낮은 직원일수록 그렇지 않은 직원에 비해 초과근무를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업무 자율성, 조직몰입, 그리고 보수의 공정성이 초과근무 선택에 미치는 효과가 공무원의 경력단계별로 각각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업무, 몰입 및 보수의 특성 등 다양한 초과근무의 원인을 고려하며 경력단계에 따른 맞춤형 관리전략을 구사할 때, 기존의 획일적 접근보다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ize the reasons why public servants in Korean central agencies choose overtime work and to find empirical evidences to provide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reducing overtime work and solving related problem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2020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of the Korean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showed that employees with lower work autonomy, higher organization commitment, and lower fairness of pay are likely to make a choice of overtime work with higher probability. Moreover, the effects of work autonomy, organization commitment, and fairness of pay on choosing overtime work are differently related to each level of career stages of employees.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 that managerial strategies tailored to career stages, with meticulousl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work, commitment, and pay, are more likely to reap benefits on managing overtime work than the prevailing ‘one-size fits all’ approach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와 연구가설의 제시
Ⅲ. 연구의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