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活來亭茶室의 造型적 美

이용수 0

영문명
Formative beauty of Tea room “Whallae-Jeong”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이진미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28집,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22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다실의 건축에 있어 하나의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서 어떠한 구성 요소가 필요한가에 대한 고찰은 가장 기본적인 문제이자 중요한 것이다. 이에 조선시대 건축의 조형을 대표하는 활래정(活來亭)의 다실(茶室)구조는 한국 건축의 주류를 이루는 목조가구식건축물로 이해를 돕는 것이 바람직 한데 건축의 정수(精粹)는 공간(空間)이며 특히 내부 공간이다. 특히 한국의 목조 건축의 공간은 다른 나라와 다른 특성들이 있으며, 이 특성있는 공간을 구성하는 데는 많은 구성요소들이 있다. 이들을 대별(大別)하면 그 하나는 내부 공간요소들, 즉 건축물 자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과, 다른 하나는 이들 건축물과 상관관계를 가지면서 좀 더 외부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공간 조형(造形)의 정신적 토대는 그들의 세계관을 포함한 철학과 미학에 기반을 둔다. 사물을 바라보는 관점과 사유방식,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 인간관, 그리고 그것을 풀어내기 위한 방법 등은 상호 유기적 연관을 맺고 있다. 첫째,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건축의 용도를 활래정 다실이라는 건축물로서 다룬다는 것은 극히 주관적일 수도 있으나 현존하는 유물 즉 당대의 시인이나 묵객이 남긴 편액과 주련을 통해 미학적 공간 활용이 가능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축의 사용목적에 따라 혹은 지역적 특성 때문에 식물은 주택의 경관을 미화시켜주기도 하지만, 선조들은 가정과 부락에 길흉화복을 가져오게 하는 대상으로 취급한 조경소재로서 여러 사상들이 내포되어 있다는 것이다. 셋째, 정원조영사상에는 풍수사상이나 음양설 외에 오랜 경험을 통해 알려진 식물생태의 과학적인 배려와 화계 등을 이용하여 좁은 후원 공간을 효율적이며 입체적인 공간으로 활용하는 기능적인 면과 미적 감상력 등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활래정의 구성요소에서 상징성과 주술적인 의미를 부여시킴으로써 자연과 거부반응을 보이지 않는 등 각 공간들이 매우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활래정은 우리나라 대표적 다실 건축이라는 점과 건축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활래정의 역사와 사상적 배경까지 폭넓게 연구하였다. 특히 미학적 관점에서, 건물의 용도를 차와 연관된 다실로 재조명하여 그 미학적 가치를 높였고, 이에 따른 후속 연구가 이뤄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상정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beauty of Korean tea room “Whallae Jeong” in terms of its inter and outer environmental harmony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In general, architecture reflects the world view of th people in the era. It involves the view points of people' thought and the view point of nature and human relationships as well. Therefore, architecture itself interconnected with the how to human being lives with harmony. In this perspective, Whallae-Jeong is a place to exhibit outstanding works of artists in that era. Thus, Whallae-Jeong tea room reflects style of art in Joseon Dynasty. Moreover, Whallae-Jeong tea room makes a good harmony with outer environments as embellishing the landscape. In that case, the landscape involves the beliefs of good luck of the people as Geomancy. However, aesthetic and practical factors also considered as a significant factor in that structure. Therefore, Whallae-Jeong tea room itself is a symbol of world view of Joseon Dynasty and the items of structure reflects living styles of the people in that era. In that perspective, Whallae-Jeong represents the beauty of architecture in Joseon Dynasty.

목차

Ⅰ. 서 론
Ⅱ. 활래정의 조형과 구성요소
Ⅲ. 활래정의 미학적 공간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미. (2015).活來亭茶室의 造型적 美. 차문화산업학, 28 , 1-22

MLA

이진미. "活來亭茶室의 造型적 美." 차문화산업학, 28.(2015):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