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양육기 부부의 가사/돌봄 시간과 세대 간 거주 근접성

이용수 18

영문명
Housework/Family-care of Married couple in Child-rearing age and Intergenerational Geographic Proximity: focused on the directions of Causality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이여봉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제35집 2호, 115~14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양육기 부부의 세대 간 거주 근접성과 부부의 가사/돌봄 시간 사이 인과관계의방향성을 검증하는 것을 연구의 핵심으로 한다. 그 과정에서 사회 인구학적 변수들이 양 배우자의 가사/돌봄 시간과 친정/시부모와의 거주 근접성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이를위하여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여성가족패널조사 중 2020년에 수집된 8차 자료와2018년에 수집된 7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2020년을 기준으로 할 때 35-44세이면서 2년 이상 결혼생활을 유지해 오고 있는 943명의 여성과 그 배우자이다. 주 분석방법으로서, 일반 최소자승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부부의 가사/돌봄 시간을 종속변수(t)로 삼는 회귀모형에는 이전 시점에 측정된 세대 간 거주 근접성 변수(t-1)를 독립변수로서 포함하였고, 세대 간 거주 근접성을 종속변수(t)로 삼는 회귀모형에는 이전 시점에 측정된 가사/돌봄 시간(t-1)을 독립변수로서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친정부모와의 거주 근접성과 아내의 돌봄 시간 간 쌍방향적 인과성이 관찰되었다. 그 외에는, 아내의 가사시간이 짧을수록 친정부모와의 근거리 거주 가능성이 높아지고, 남편의 돌봄 시간이 많을수록 시부모와의 근거리 거주 가능성이 높아지며, 시부모와의 근거리 거주가 아내의 돌봄 시간을 줄여주는등, 일방향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미취학자녀 및 학령기 자녀는 친정부모가아닌 시부모와의 근거리 거주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종합하여, 손자녀 돌봄을 중심으로 양육기 부부에게 제공되는 실질적 돌봄 지원은 친정부모 보다는가까이 사는 시부모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causality between parental support for married couple’s housework/family-care and intergenerational geographic proximity. It also observed how the socioeconomic variables were related to each spouse’s hours on housework/family-care, and to the intergenerational geographic proximity. The 8th panel data collected in 2020 and the 7th panel data collected in 2018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were analyzed. The used dataset has 943 samples of 35-44 aged women in 2020 and their spouses with at least 2 years of marriage. OLS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the observations. In the regression model with the hours of housework/family-care as dependent variables(t), the intergenerational geographic proximity estimated in 2 years ago(t-1)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the intergenerational geographic proximity as a dependent variable(t), the hours of housework/family-care estimated in 2 years ago(t-1)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ciprocal relationship was observed only between wife’s hours for family-care and the geographic proximity to wife’s parents. Some non-reciprocal relationships were observed; wife’s hours of housework was inversely related to the odds of living near her parents, husband’s hours for family-car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odds of living near his parents, and husband’s parents living nearby reduced wife’s hours for family-care. Another notable observation is that the number of preschoolers and that of school-aged children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odds of living near husband’s parents. Overall, family-caring assistance is provided by husband’s parents living nearby, not by wife’s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여봉. (2023).양육기 부부의 가사/돌봄 시간과 세대 간 거주 근접성. 가족과 문화, 35 (2), 115-141

MLA

이여봉. "양육기 부부의 가사/돌봄 시간과 세대 간 거주 근접성." 가족과 문화, 35.2(2023): 115-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