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 대학 여대생의 성역할정체감, 성공공포 및 우울
이용수 5
- 영문명
- Sex-Role Identity, Fear of Success and Risk of Depression of Female Students Attending at a University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오세철 곽영숙 송정국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23권 제2호, 52~5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일 대학 여학생의 성역할정체감 유형 분포와 성공공포 및 우울위험에 취약한 특정 유형을 확인하고, 어떤 요인들이 이 유형이 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자기기입방식 설문조사 응답지 74부로부터 얻어진 자료에 대해서 ANOVA 및 Scheffe의 사후 테스트,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미분화형과 여성성 유형이 동일하게 가장 많았고(28.4%, 21명) 양성성 유형이 가장 적었다(18.9%, 14명). 미분화형과 여성성 유형은 남성성 유형과 양성성 유형보다 성공공포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F=5.41, p=0.002). 우울위험 정도는 양성성 유형, 남성성 유형, 여성성 유형, 미분화형 순으로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1.57, p=0.204). 남자 형제가 있는 경우(OR=9.56, p=0.021), 외모 만족도가 낮을수록(OR=2.54, p=0.032) 및 학업성취도가 낮을수록(OR=2.54, p=0.048) 미분화형이 될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미분화형은 일 대학 여대생 성역할정체감의 주요 유형이자 성공회피와 우울위험에 취약한 유형이었다. 향후 해당기관 및 교육당 국은 이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한 성인 초기 여성을 위한 성역할정체감 확립 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sex-role identity types and the factors affecting a vulnerable type to fear of success and risk of depression among female students attending at a university in Jeju.
Methods :
Data from 74 participants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ANOVA and Scheffe’s posthoc test, and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The most prevalent sex-role identity type was undifferentiated (28.4%), accompanied by femininity (28.4%) equally. Androgyny was the least prevalent (18.9%). The undifferentiated as well as femininity type showed a higher level of fear of success than the masculinity and the androgyny types did (F=5.41, p=0.002). Although the degree of risk of depression was increasing, starting from androgyny to masculinity, femininity and undifferentiated type in the order nam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m (F=1.57, p=0.204). The factors affecting the undifferentiated type were having male sibling (Odds ratio 9.56 ; Confidence Interval 1.40-65.39 ; p=0.021), level of body image satisfaction (2.54 ; 1.09-5.93 ; p=0.032) and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2.54 ; 1.01-6.40 ; p=0.048).
Conclusion :
The Jeju’s most prevalent and vulnerable type of sex-role identity is undifferentiated type among female students. This calls for an intervention concerning the affecting factor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