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Caregiver-Perceived Psychosocial Function of Patients and Family Burden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aregiver-Perceived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of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준옥 박다원 서영은 황현국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23권 제2호, 35~4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
만성정신질환 환자 보호자의 가족부담에 영향을 주는 환자의 일상생활기능 수준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각 요인의 상호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일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보호자 45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정보, 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 및 증상평가 척도, 가족부담 척도를 측정하였다. 환자의 일상생활기능 수준 또는 증상과 가족부담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알코올사용장애 환자 보호자의 객관적, 주관적 부담점수가 기분장애 환자 보호자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p<0.01), 조현병 환자 보호자의 주관적 부담점수가 기분장애 환자 보호자의 점수보다 높았다(p<0.01). 단순회귀분석 결과 지각된 환자의 일상생활수행기술(β=0.40, p<0.01)과 우울/불안(β=0.48, p<0.01)은 각각 가족부담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세 변인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상생활수행기술과 가족부담의 관계에서 우울/불안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일상생활수행기술과 가족부담의 관계에서 우울/불안의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가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환자의 우울/불안 증상을 효과적으로 다루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performance in daily life and symptoms of patient, affecting the family burden of chronic mental illness patient, and reciprocal process of each variable.
Methods :
Forty-five caregivers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es completed the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32 and the Family Burden Scale and provided general informa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scores of the caregivers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ood disorder patients (p<0.05 and p<0.01, respectively), Subjective burden scores of caregiver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higher than those of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p<0.01).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aregiver-perceived performance in daily life (β=0.40, p<0.01) and depression/anxiety (β=0.48, p<0.01) significantly predicted family burd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whereas depression/anxiety had a direct effect on family burden, performance in daily life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aregiver burden only mediated by those mood symptoms.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anxiet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s performance in daily life and family burden. Treatment of depression/anxiety symptoms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es, or reduction of caregiver’s perception of those symptoms, is essential in the alleviation of the family burden.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