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두부 외상 후 발생한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의 가족 부담에 미치는 요인

이용수 19

영문명
Factors Influencing Family Burden of the Patients with Organic Mental Disorder after Head Trauma
발행기관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저자명
방영롱 김철권
간행물 정보
『사회정신의학』제18권 제1호, 34~41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5.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 두부 외상 후 기질성 정신장애를 앓는 환자를 돌보는 주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부담을 평가하고, 그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 법 : 교통사고나 산업재해에 의한 두부 외상으로 ICD-10 진단기준상 기질성 정신장애로 진단되어, 동아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외래 또는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주 보호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와 주 보호자들로부터 면담 혹은 자가 보고 방식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 가족부담(정신질환자의 가족부담 척도), 우울(Beck 우울척도), 불안(Beck 불안 척도), 사회적지지(다면적 사회지지척도), 환자의 문제행동(BASIS-32) 등을 평가하였다. 자료 분석은 평가한 모든 요인들을 부담에 대한 설명변수로 고려하여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두부 외상 후 기질성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주 보호자가 느끼는 부담척도 점수는 평균 58.7점(표준편차 28.2)이었다. 주 보호자의 우울 점수는 평균 26.4점(표준편차 11.8)이었고 불안 점수는 평균 24.7점(표준편차 14.1)이었다. 22점을 절단점으로 하였을 때전체 보호자의 52%와 48%가 각각 우울과 불안을 경험하고 있었다. 가족부담을 설명하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 환자 나이, 환자 성별, 흡연 여부, 음주 여부, 보호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환자의 행동증상 등 6개 요인이 전체 가족부담의 80%를 설명하였다. 그 중 환자의 행동증상이 49%로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행동증상척도(BASIS-32)의 5개 소영역, 즉 대인관계, 우울과 불안, 충동적 또는 중독 행동, 일상생활기능, 정신병적 증상 모두 주 보호자가 경험하는 부담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결 론 : 두부 외상 후 기질성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주 보호자들은 환자를 돌보는데 있어 상당히 심한 부담과 우울, 그리고 불안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족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행동증상, 음주, 흡연, 환자 나이, 보호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환자 성별 등이었다. 이러한 가족부담 요인들 중에서 변화 가능한 요인들을 찾아내어 개선시킨다면, 주 보호자가 느끼는 부담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amily burden in the primary caregivers of organic mental disorder patients after head trauma,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family burden. Methods : A total 50 primary caregivers of organic mental disorder patients after head trauma due to traffic or industrial acci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have attended the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or inpatient ward of Dong-A university hospital. We collected data from the caregivers abou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burden (Family Burden Scale), family depression (BAI) and anxiety (BDI), family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BASIS-32) under several measures. For data analysis, all collected data were considered explanatory variables for burden, then multicollinearity was examined. Results : Total mean score of the family burden in the primary caregivers was 58.7 (SD 28.2). Each score of family depression and anxiety was 26.4 (SD 11.8) and 24.7 (SD 141), and measured up to 52% and 48% of total caregivers. Among several variables influencing the family burden, 6 variables (patients’ age, patients’ sex, patients’ smoking, patients’ alcohol drinking, famil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accounted for 80% of the family burden. In particular,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explanatory ability (49%). When dividing the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into five subareas: Personal relationship, Depression and Anxiety, Impulsivity or Addiction behaviors, Daily-life function and Psychotic symptoms, we could see all the subareas were connected with the family burden in a statistically meaningful way. Conclusions : Primary caregivers of organic mental disorder patients after head trauma bore the considerable burden of caring for the patients and felt depressed and anxious. Factors influencing the family burden were patients’ behavior and symptoms, patients’ alcohol drinking, patients’ smoking, patients’ age, famil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atients’ sex. If we try to figure out the variable factors and improve them, we can decrease family burden effectively.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방영롱,김철권. (2013).두부 외상 후 발생한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의 가족 부담에 미치는 요인. 사회정신의학, 18 (1), 34-41

MLA

방영롱,김철권. "두부 외상 후 발생한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의 가족 부담에 미치는 요인." 사회정신의학, 18.1(2013): 34-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