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대전』의 서문(序文)과 범례(凡例)를 읽으며

이용수 10

영문명
Reading the Preface and Legend of the Great Scripture of Buddhism (佛敎大典)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박오수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75호, 99~12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불교대전』에 대한 논의는 1905년 일본에서 발간된 『불교성전』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2002년에 알려진 이래 급변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후 그 구성에 있어서 상대적 독자성이 그래도 확인된다는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하지만 『불교성전』은 정토문의 입장에서 구성된 것이고 『불교대전』은 성도문의 입장에서 구성된 것으로 본다면 그 독자성의 논의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불교성전』을 참조하면서, 필자가 총인용문 또는 서문이라고 부르는 『무량청정평등각경』 출전의 인용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또 범례(凡例)에 나오는 “독자집판(獨自執辦)”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인지를 인용문의 원문을 검토함으로써 답하고자 하였다. 첫 질문의 답변은 정토경전의 인용이 만해가 타력문을 인정한 것이라고 볼 수는 없고 『불교성전』의 『무량수경』 인용문을 『무량청정평등각경』으로 변경한 것은 주관적 의도가 있다는 것이었다. 그것은 강자가 약자를 침탈하지 않아야 한다는 평화의 정신에 기초하여 제국주의에 대한 나름의 소박한 저항을 하였다고 판단하였다. 다음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는 몇몇 인용문의 경우 혼자 모든 일을 도맡았다는 뜻의 “독자집판”과는 거리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조력자의 존재가 유추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불교대전』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것이 아님을 또한 강조하였다. 시간상, 업무상의 제약에 따른 것이고 또 만해와 관련된 학인이나 불자들의 열망이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읽기”라는 말을 썼는데 이는 한문 원문 대조 작업의 의의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미 오래 전에 끝났어야 할 일인데 이에 기반한 ‘읽기’는 아직 초보 단계에 있다. 『불교대전』이나 『불교성전』이나 한문 원문을 공통으로 하고 있으므로 원전 대조 작업은 의외의 성과를 낳을 수 있다. 원전 대조에 기초한 『불교대전』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고대한다.

영문 초록

Discussions about the Great Scripture of Buddhism (佛敎大典) have changed rapidly since it became known in 2002 that it was influenced by the Sacred Scripture of Buddhism (佛敎聖典) published in Japan in 1905. Since then, papers have shown that the relative identity of the Great Scripture of Buddhism is still confirmed. However, if we consider that the Sacred Scripture of Buddhism was compo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Pure Land School (淨土門) and the Great Scripture of Buddhism was compo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acred Way School (聖道門), we can be free to some extent to discuss this work’s uniqueness. In this study, referring to the Sacred Scripture of Buddhism, two questions are raised. The first one is, why did Manhae (萬海) cite in the preface a quotation from the Infinite Purity, Impartiality, and Awakenment Sutra (無量清淨平等覺經), not from the Sutra of the Buddha of Infinite Life (無量壽經), which was the first citation of the Sacred Scripture of Buddhism? The second question is the possibility of a helper in the composition of the Great Scripture of Buddhism. By examining the original text of the quotation, answers were derived. The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is that Manhae’s quotation of the sutras of the Pure Land could not be seen as acknowledging the door of other power (他力門) and that there was a subjective intention in changing the quotation from the Sutra of the Buddha of Infinite Life in the Sacred Scripture of Buddhism to the Infinite Purity Impartiality and Awakenment Sutra. It is suggested that this change reflected a simple resistance to imperialism based on the spirit of peace that “the strong should not invade the weak (強不凌弱, 各得其所).” The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is that some of the citations may be far from “All things are done alone (獨自執辦)” in the sense that he did all the work without any help from others. However, the presence of an assistant is inferred when some citations are scrutinized. It should be emphasized, though, that this point does not diminish the value of Great Scripture of Buddhism. The contribution of an assistant was due to time and work constraints, and it can be seen as an expression of the aspirations of Buddhist monks and Buddhists related to Manhae’s work. This paper uses the word “reading”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of comparing the original Chinese text. Although this should have been done a long time ago, “reading” in this sense is still in its infancy. Since the Great Scripture of Buddhism and the Sacred Scripture of Buddhism share the original Chinese text, the work of comparing the original text can produce unexpected results. I look forward to the vitalization of discussions on the Great Scripture of Buddhism based on the original text.

목차

Ⅰ. 머리말
Ⅱ. 서문 읽기
Ⅲ. 범례 읽기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오수. (2023).『불교대전』의 서문(序文)과 범례(凡例)를 읽으며. 불교학연구, (), 99-128

MLA

박오수. "『불교대전』의 서문(序文)과 범례(凡例)를 읽으며." 불교학연구, (2023): 99-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