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VID-19 시기 일․돌봄과 육아정책에 대한 모(母)의 인식 연구

이용수 19

영문명
Mothers’ Perception on Work, Care and Child Care Policies during Covid-19
발행기관
한국정책개발학회
저자명
서영미
간행물 정보
『정책개발연구』제23권 제1호, 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 시기, 영유아 자녀를 둔 모(母)를 대상으로 육아정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일·돌봄 등의 실태와 육아 정책 만족도 분석을 통해, 향후 정책수립의 기초가 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돌봄 실태로 COVID-19 이전에는 주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돌봄’이 이루어졌으나, COVID-19 이후 자녀돌봄은 주로 ‘가정에서(부모가) 직접 돌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자녀를 둔 모(母)들은 돌봄과 가사의 남녀분배에 ‘평등하다’라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불평등하다’ 또는 ‘매우 불평등하다’라는 인식도 절반 정도 나타나 다소 의견 차이가 있었다. 성 평등 및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 요구도는 ‘각종 양육지원 제도 확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녀 양육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환경 개선’과 ‘각종 수당 지원(아동수당 확대 등)’이 동일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둘째, 육아정책에 대한 만족에서는 ‘별로 만족하지 않는다’가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육아정책의 평가로는 ‘의견 및 만족도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육아정책 개선 방법으로는 ‘아동 관련 예산 확대’가 가장 높게 차지했다. 이에 비해 육아정책의 평가 방법으로 ‘출산율 증감’을 판단하는 것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료 지원 정책에서 ‘장애아동 그 밖의 연장형 보육료 지원(어린이집 이용 아동)’이 일ㆍ가정 양립 도움 정도에서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돌봄 정책에서는 ‘공동육아나눔터 운영’이 인지도는 높았으나, 일ㆍ가정 양립 도움 정도에서는 가장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mothers’ perception of childcare policies during the COVID-19 period.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mothers’ satisfaction with childcare policies and surveys actual conditions to work and 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work and care, prior to COVID-19, ‘care at a daycare center or kindergarten’ was mainly carried out, but after COVID-19, childcare was mainly performed at ‘home (parents) direct care’. Mothers with infants or young children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of ‘equal’ in the distribution of care and housework between men and women, but about half of the perceptions were ‘unequal’ or ‘very unequal’, showing a somewhat different opinion. As for the policy demand for gender equality and work-family balance, ‘expanding various childcare support systems’ was the highest. As for the policies needed to raise children,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such as reduction of working hours’ and ‘support for various allowances (expansion of child allowance, etc.)’ showed the same high figures. Second,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childcare policies, 'not very satisfied' was found to be a high level. As for the evaluation of childcare policies, it was found that ‘opinion and satisfaction surveys’ were necessary, and ‘expanding the child-related budget’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as a means to improve childcarepolicies. On the other hand, the evaluation method for childcare policy was found to be rather low in judging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fertility rate. Third, 'support for disabled children and other extended childcare subsidies (children using daycare centers)', one of of the childcare subsidy policies, showed a high level in the degree of help with work-life balance. In the care policy, the awareness of ‘joint parenting sharing center operation’ was high, but the lowest level was found in the degree of work-family balance hel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영미. (2023).COVID-19 시기 일․돌봄과 육아정책에 대한 모(母)의 인식 연구. 정책개발연구, 23 (1), 1-30

MLA

서영미. "COVID-19 시기 일․돌봄과 육아정책에 대한 모(母)의 인식 연구." 정책개발연구, 23.1(2023): 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