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약분업 시행상 나타난 정신과 치료상의 문제점들에 대한 정신과 의사, 환자 및 보호자들의 견해
이용수 0
- 영문명
- Opinions on the Problems of Psychiatric Practice Related to the ‘Separation of the Prescribing and Dispensing of Drugs’ among Psychiatrists, Psychiatric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박정수 정재열 홍진표 송인권 이혁 서동우 박강규 이충경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6권 제1호, 73~8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5.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이 연구는 의약분업 시행 후 드러난 정신과 진료에서의 문제점들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정신과의사, 환자 및 보호자들의 견해를 통합하여 제도적 개선과 합리적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방 법:
모든 정신과 의료기관에 설문지 취지에 대한 설명과 함께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여 환자, 보호자, 정신과 의사에게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한 후 우편으로 회신 받았다.
결 과:
정신과 환자 및 가족의 29.3%가 약국에서 대체조제를 경험하였으며 82.5%가 의약분업 시행후 이전 보다 더 불편해졌다고 응답하였으며 25.9%에서 약국에서 조제시 환자 및 보호자가 정신과 약물을 구입하는 것을 다른 사람이 알게된다고 응답하였다. 정신과 의사의 16.4%가 원외처방전을 전혀 발행하지 않고 있었으며 55.9%는 10%미만의 원외처방전을 발행하고 있었다. 많은 정신과 의사들은 현재의 의약분업에서 정신과 진료는 제외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결 론:
현재의 의약분업 제도는 정신과 진료의 많은 영역에서 중요한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고 약사법의 의약분업 예외조항과 관련해서 재검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ssues and problems of psychiatric practice after introduction of the‘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and opinions of psychiatrists, psychiatric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to improve this medical system by suggesting reasonable alternatives.
Methods:The psychiatrists, the psychiatric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ho visited civil, national, and private hospitals, were selected for survey from september, 2000 to February, 2001.
Results: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ings:
Among psychiatric patients and their families,
1) 29.3% of responders experienced prescribed drugs substituted by others and 82.5% of responders were in discomfort after introduction of‘the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2) 25.9% of responder experienced invasion of privacy at a pharmacy.
Among psychiatrists,
1) 16.4% of responders didn’t make out prescriptions to pharmacy at all and 55.9% of responders made out prescriptions to pharmacy less than 10% of all prescriptions.
2) Many psychiatrists wanted that psychiatric practice should be excluded from‘the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Conclusion: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urrent‘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in Korea had many serious problems in many areas of psychiatric practice, and the present Pharmaceutical Law should be urged to reconsider.
목차
서 론
조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aning in Life Scale for Cancer Patients
- Diminished Compensatory Energy Production Following Hypoxic Stress in the Prefrontal and Anterior Cingulate Cortex Among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 Prenatal Mental Health and Its Stress-Process Mechanisms During a Pandemic Lockdown: A Moderated Parallel Mediation Mode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