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료보호 정신분열병 환자의 의료이용 양상

이용수 0

영문명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Schizophrenic Patients under the Medical Aid Program in Korea
발행기관
대한사회정신의학회
저자명
서수경 신영전 남정현 임민경
간행물 정보
『사회정신의학』제6권 제1호, 81~9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5.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1992년부터 1998년까지 7년간 우리나라 의료보호 정신분열병 환자수, 치료유병률 및 구성변화와 의료이용 양상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정신질환과 관련한 의료보호 정책수립과 시행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 법: 1992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까지 의료보호관리공단의 의료보호 청구자료와 의료보호통계연감을 가지고 의료보호 청구명세서에서 주상병이 정신분열병인 의료보호 대상자를 대상으로 하여, 환자의 특성과 이용양상을 살펴보았다. 결 과: 1) 의료보호 대상자 중 정신분열병 환자수는 1992년 24,373명이었으나 1998년에는 32,285명이었다. 치료유병률도 1992년 대상자 100명당 1.12명에서 1998년에는 2.44명이었다. 치료유병률은 여성에 비해 남성이 높았다. 연령군별로는 모든 연도에 걸쳐 30-39세군의 치료유병률이 가장 높았다. 유형별 치료유병률은 시설수용자가 가장 높았다. 2) 의료보호 정신분열병 환자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연령별로는 입원, 외래모두에서 젊은 군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었다. 유형별로는 입원군에서는 거택보호환자의 비율이, 외래군에서는 시설수용자군의 비율이 높았으나 점차 거택보호대상자군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었다. 3) 의료보호 정신분열병 환자의 이용률, 1인당 내원일수, 진료일수 및 1인당 진료비는 입원서비스의 경우, 1996년과 1997년에 모두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이었고, 외래서비스는 1995년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별로는 입원서비스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지만 외래서비스에서는 남녀간 차이가 분명하지 않았다. 연령별로는 입원서비스에서 50대군, 외래서비스에서는 3·40대군이 가장 높았다. 유형별로는 입원서비스에서 거택보호대상자, 외래서비스에서는 시설수용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결 론: 의료보호 대상자 군내에서 정신분열병 환자의 비율과 진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의료보호 정책상의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1995년부터의 입원서비스 이용의 급증과 외래서비스 이용의 감소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병상수의 증가, 의료보호 기간의 연장 등과 같은 정책요인이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To understand the trend in the numbers of schizophrenic patients, treatment prevalence, composition and health care utilization of schizophrenic patients under the Medical Aid Program(Sch-MA) from 1992 to 1998,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establish and conduct the Medical Aid Program. Method:The analysis is based on claims data of the Medical Aid Program from 1992 to 1998. Results:1) The number of schizophrenic patients among of beneficiaries of the Medical Aid Program are 24,373 in 1992, and has gradually increased to 32,258 in 1998. The treatment prevalence is 1.12 per 100 persons in 1992, and has gradually increased to 2.44 per 100 persons. Sex and age differences are both present. Treatment of men through Sch- MA is more prevalent than that of women, and the prevalence of treatment of patients in the age bracket 30-39 is the highest. 2) Sch-MA is composed of more male than female patients, and this trend is more prominent in patients that used admission services. Among patients that used outpatient services, younger groups have increased in size gradually. Among patients that used admission services, patients in type-1 households form the largest group, and among the patients that used outpatient services, institutional residents form the largest group. However, the number of Sch-MA (type-1) patients has increased from year to year. 3) Service utilization rates, visit days per person, prescribing days per persons, and the medical costs per person in utilization of admission services have increased since 1995, and was highest in 1996 and 1997. In contrast, the utilization of outpatient services, service utilization rates, visit days per person, prescribing days per person, and medical costs per person have decreased since 1995. Utilization of admission services is highest among 50-59 years-olds, and utilization of outpatient services is highest among 30-39 years-olds, with 40-49 years-olds utilization being higher than that of 50-59 years-olds. Utilization of admission services is highest among those utilizing type-1 household, and utilization of outpatient services is highest among the institutional residents. Conclusion:The proportion of schizophrenic patients among the Medical aid clients and the cost of service utilization is increasing continuall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ffective policy and management for Sch-MA is also increasing. Especially, the rapid increase in the utilization of admission services and the rapid decrease in the utilization of outpatient services since 1995 which has been observed, may be due to policy factors such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beds and the prolongation of the duration of service utilization.

목차

서 론
조사 자료 및 방법
연 구 결 과
고 찰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eBook 구매/이용 안내

    • 본 상품은 별도로 배송되지 않는 전자책 서비스입니다.
    • 본 상품은 인쇄/저장/편집 기능이 불가합니다.
    • 2014년 11월 21일부터 ‘개정 도서정가제’ 시행에 따라 신구간 구분 없이 기본 이벤트 할인과 적립을 포함하여 최대 15%까지만 제공됩니다.
    • 종이책의 부록(쿠폰)은 eBook 구매 시 제공되지 않습니다.
    • 학술논문 상품은 배송되지 않으며, 구매 후 논문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교보eBook 내서재]를 통해 열람할 수 있는 전자책 서비스입니다. 학술논문은 구매일시를 기준으로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예) 5월18일 오후 4시 구매 --> 5월21일 오후 3시 59분까지 다운로드 가능
  • 단말기 안내

    • 구매하신 eBook은 저작권 보호를 위한 불법복제방지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교보eBook을 지원하는 PC전용 프로그램 PC뷰어APP(PC e서재), 모바일 iOS/안드로이드 스마트폰/태블릿의 교보eBook 모바일 뷰어 APP, 교보 eBook 서비스를 지원하는 E Ink sam 전용 단말기, 바로보기 버튼을 통한 웹뷰어 열람이 가능한 PC 및 단말기에서만 열람이 가능합니다.
    • 단, 오디오북 상품은 PC 전용 프로그램 PC뷰어APP(PC e서재), sam 전용 단말기에서 서비스 이용이 불가하며, 동영상 상품은 웹에서 스트리밍 재생만 가능합니다.
    • 만화(코믹스) 상품의 경우 sam 전용 단말기에서는 더 이상 서비스 지원되지 않습니다.
    • 모바일 앱은 OS별 각 앱 스토어를 통해 전용 [교보eBook]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후 이용 가능합니다.
    • 단, 오디오북 상품은 모바일 [교보eBook]앱(Android v3.0.42, iOS v3.0.23 버전 이상)에서 이용 가능하며, PC뷰어APP(PC e서재) /sam전용 단말기에서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또한, 만화(코믹스) 상품의 경우 교보eBook앱 특정 버전 이상(Android v3.0.25, iOS v3.0.09, PC v1.2 버전 이상) 부터 이용 가능하며 sam 전용 단말기에서는 더 이상 서비스 지원되지 않습니다.
    • 교보문고 출시 단말을 제외한 안드로이드 기반 eBook 전용 단말기에 [교보eBook]을 설치하여 이용하는 경우 단말이 가진 특성(커스텀OS, 단말 특화 기능, 물리키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한 번의 구매로 교보eBook을 지원하는 단말기 최대 5대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일부 해외에서 접속 시 IP 차단으로 서비스 이용 불가)
    • 이용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의 변경을 원할 경우 [교보eBook모바일앱→설정→기기관리] 메뉴를 통해 기존 단말기 등록해지 후 신규 단말기 등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콘텐츠 다운로드 열람 시 용량 제한 안내

    • eBook전용 sam 단말기의 경우 멀티eBook(ePUB 3.0, 멀티PDF), 용량 50MB이상의 파일은 정상 열람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iOS, 안드로이드의 OS 버전이 최소 지원 가능 OS 버전보다 낮을 경우, 이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이용 안내

    • 웹뷰어를 통해 eBook 열람 시, PC, 모바일 모두 Chrome, Safari, Edge 브라우저에서 최적화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의 경우, 안드로이드는 OS 버전 구분 없이 이용 가능하나, iOS의 경우 13.4버전 부터 이용 가능합니다. 다만, 용량이 큰 일부 파일 또는 파일 자체에 결함이 있는 특정 컨텐츠의 경우 웹뷰어 열람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 동영상 또는 오디오북을 PC에서 스트리밍으로 감상 시, Windows 10 이상의 OS에서 Edge (Chromium 기반), Chrome c35 이상, Firefox v47 이상의 브라우저 / Mac 10 이상의 OS에서 Safari v12 이상의 브라우저로 최적화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동영상 또는 오디오북을 모바일에서 스트리밍으로 감상 시, Android 4.4 이상의 OS에서 Chrome v62 이상의 브라우저 / iOS 12 이상의 OS에서 Safari v12 이상(iOS 동일 또는 이상)의 브라우저로 최적화된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오디오북/동영상 대여 상품 결제 시, 대여일은 구성 회차 중 최초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재생한 회차의 시작일로부터 +대여일(종료일)이 해당 상품의 모든 회차에 동일 대여(열람)기간이 부여됩니다.
    • PC뷰어APP(PC e서재) 는 windows OS를 권장하며, 이외 가상머신 환경에 설치한 windows OS 및 Mac OS, 크롬북 OS에서는 컨텐츠 보안 문제로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 PC뷰어APP(PC e서재) 는 동일한 아이디로 1대의 PC에서 이용 가능하며, 다른 PC에서 이용할 경우 PC 재인증한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eBook 이용안내 → 시스템 권장사양]에서 상세 사양 확인가능 바로가기
    • 상품에 부록이 있을 경우, 구매 후 [PC웹→마이룸→디지털콘텐츠] 메뉴를 통해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판사 사정에 따라, 해당 출판사 홈페이지 자료실을 통해서만 부록을 제공받을 수 있거나, 이용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구매 전 상세페이지에서 부록 제공에 대한 상세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 ePUB이란?

      eBook 파일과 단말기 간의 호환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정된 국제 표준 파일입니다.
      글자크기, 글꼴, 줄간격 조정이 가능하여 최적의 독서환경을 제공합니다.

      PDF란?

      종이책의 판형과 편집 디자인을 그대로 디지털화 한 eBook 파일입니다.
      글자크기, 글꼴, 줄간격 조정 대신 페이지 축소/확대로 이용 가능합니다.
      * 참고 : PDF는 주석 기능(형광펜,메모 등)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ZIP이란?

      만화 컨텐츠에 최적화하여 다수의 이미지를 압축한 만화 전용 서비스 파일입니다.
      이미지 축소/확대로 이용이 가능하며 책갈피 기능이 제공됩니다.

      MP3란?

      텍스트가 없는 음원 파일 형식으로, 오디오북의 경우 MP3 파일로 구성됩니다.

  • 반품/교환/환불 안내

    • eBook 상품은 구매 후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재생을 하지 않은 경우에 한해 구매일로부터 7일 이내 주문 취소가 가능합니다.
      (오디오북 및 동영상은 회차 구성상품으로 해당 상품의 1개 이상의 회차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재생 이력이 있는 경우 취소 불가)
    • 디지털 교보문고의 전산오류를 제외한 고객님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한 환불 및 교환은 불가능합니다. 또한, 정액권과 이용권 사용기간 연장은 불가능합니다.
    • 고객센터 > 1:1상담 > 반품/교환/환불을 통해 신청 가능하고, 마이룸 > 교환/반품 내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eBook 상품은 구매 후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하신 경우 주문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오 등록된 상품인 경우 별도의 고지 없이 상품판매 중단/회수 등의 작업이 진행됩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이벤트
  • [윙하단] 시사북스 JLPT 기획전
  • [윙하단] 작가정신 대여전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