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제조업 수출기업의 친환경 협력 결정요인과 기업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용수 104
-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Firm Performance of Chinese Manufacturing Exporters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진청운 조혁수 석천운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5권 제2호, 263~28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글로벌 시장에서 친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기대는 기업에 압력이 되며 동시에 친환경 전략 수립 및 활동 수행에 중요한 동기부여가 되고 있다. 기업경영에 있어서 환경을 고려한 기업경영 활동과 제품의 친환경성은 초기 추가비용을 발생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기업경쟁력 향상 및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제조업 수출기업의 공급사슬 분야 친환경 협력 결정요인과 기업 성과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친환경 협력과 기업 성과 간 관계가 관계 특성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도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의 흡수 역량과 환경 지향성이 기업 간 친환경 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 파트너에 대한 신뢰성과 규제적 환경도 친환경 협력의 결정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친환경 협력 수준은 기업의 환경 성과 및 수출 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며, 이는 공급사슬 상 기업 간 친환경 협력이 기업 성과를 높이는 유용한 전략임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growing environmental concerns have put pressure on companies to adopt eco-friendly strategies and activities throughout their global supply chains. As a result, establishing environmental cooperation among companies has become essential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and performa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driving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firm performance among Chinese manufacturing exporters. Furthermore, we investigate how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such as reliability and commitment moderate the link between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firm performance. The empirical findings reveal that absorptive capacity and environmental orient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environmental cooperation, while trust and regulatory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 it. Additionally, a higher level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export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moting higher levels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among companies in the supply chain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improving corporate performance. Moreover, the level of commitment positively moderate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on firm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Ⅳ. 실증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산업의 수출과 지식재산권보호에 관한 연구
- 중국 제조업 수출기업의 친환경 협력 결정요인과 기업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무역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 문화적 거리가 해외 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의 혁신전략이 개방형 혁신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실질유가와 실질실효환율의 불확실성이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품목별 실질수출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
- 한국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 촉진 요인과 유통채널 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 제품우위에 대한 글로벌 정보통합과 공식화의 영향에서 지식공유와 기술습득의 매개효과 연구
- 글로벌 금융시대 한국 주식시장의 애널리스트 허딩 행태에 따른 텍스트 정보력 연구
- 한국 주요 산업의 GVC 현황과 쟁점
- K-Food의 인도네시아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글로벌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의사결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