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Food의 인도네시아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5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ies to Strengthen K-Food’s Market Competitiveness in Indonesia: Focusing on the SWOT-AHP Method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이상하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5권 제2호, 201~2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인도네시아에서는 한류의 인기에 힘입어 K-Foo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식품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한국 식품업체들의 중요한 해외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WOT-AHP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인도네시아에서 K-Food의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였다. 전체 요인들의 중요도에 근거한 전략적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 가장 중요한 전략은 WO 전략으로 나타났다. 이는 K-Food 고유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 미흡(W4)과 한류와 한식에 대한 높은 관심(O1)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이다. 이 전략은 한류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촉발된 K-Food의 성장 기회를 적극 활용하고 K-Food 특유의 맛과 문화적인 가치를 즐기려는 소비자들에게 자부심과 재미를 심어줌으로써 K-Food 고유의 브랜드 이미지를 확고하게 구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K-Food의 인도네시아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의 마련과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한 한국 식품업체들의 성과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K-Food의 경쟁우위 확보와 관련된 국제마케팅 연구의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Recently, interest in K-Food has been increasing in Indonesia due to the Hallyu craze. In addition, Indonesia is emerging as an important overseas market for Korean food companies due to the continued growth of the food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derived a marketing strategy to strengthen the market competitiveness of K-Food in Indonesia using the SWOT-AHP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deriving strategic prioriti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all factors, the most important strategy was the WO strategy. This strategy takes into account the lack of K-Food’s unique brand image(W4) and the high interest in Hallyu and K-Food(O1) at the same time. This strategy requires a way to actively utilize K-Food’s market opportunities triggered by high interest in the Hallyu and to provide pride and fun to consumers who want to enjoy the unique taste and cultural value of K-Food.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prepare marketing strategies to strengthen K-Food’s competitiveness in the Indonesian market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Korean food compani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international marketing research related to the strengthening of K-Food’s competitiveness in the Indonesian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산업의 수출과 지식재산권보호에 관한 연구
- 중국 제조업 수출기업의 친환경 협력 결정요인과 기업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무역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 문화적 거리가 해외 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의 혁신전략이 개방형 혁신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실질유가와 실질실효환율의 불확실성이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품목별 실질수출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
- 한국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 촉진 요인과 유통채널 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 제품우위에 대한 글로벌 정보통합과 공식화의 영향에서 지식공유와 기술습득의 매개효과 연구
- 글로벌 금융시대 한국 주식시장의 애널리스트 허딩 행태에 따른 텍스트 정보력 연구
- 한국 주요 산업의 GVC 현황과 쟁점
- K-Food의 인도네시아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글로벌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의사결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