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적 거리가 해외 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55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act of Cultural Distance on Foreign Investment Performance: Comparing Independent Firms and Subsidiaries Using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김창봉 최조환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5권 제2호, 59~8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본연구는 한국의 295개 제조업 해외 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Hofstede의 문화적 차원별 거리가 현지 매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자회사와 독립기업으로 나누어 집단 간 차이를 실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적 거리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전반적인 현지 매출 성과는 자회사가 독립기업보다 높았다. 그러나 본국과 진출국 간 문화적 거리의 변수를 적용했을 때는 종합적인 문화적 거리 및 권력 거리(PDI), 개인주의(IDV), 남성성(MAS) 차원에서 자회사가 독립기업보다 문화적 거리의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독립기업의 자회사 대비 높은 운영 자율성에 따른 유연한 현지 대응이 문화적 거리로 인한 외국인 비용 완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외 진출 기업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Hofstede's cultural distance on the performance of 295 Korean manufacturing SMEs in foreign countries, categorizing them into subsidiaries and independent firms.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subsidiaries is higher than that of independent firms when cultural distance is not taken into account. However, when the cultural distances between home and host countries is considered, subsidiaries are more negatively affected by cultural distances than independent firms in terms of overall cultural distance and power distance (PDI), individualism (IDV), and masculinity (MA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flexibility in responding and adjusting independent firms to local cultures with operational autonomy positively contributes to the mitigation of liability of foreignness incurred by cultural distances, and thus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izing firms in seeking efficient strategies to cope with liabilities of international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 방법
Ⅳ. 실증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산업의 수출과 지식재산권보호에 관한 연구
- 중국 제조업 수출기업의 친환경 협력 결정요인과 기업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무역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 문화적 거리가 해외 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의 혁신전략이 개방형 혁신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실질유가와 실질실효환율의 불확실성이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품목별 실질수출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
- 한국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 촉진 요인과 유통채널 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 제품우위에 대한 글로벌 정보통합과 공식화의 영향에서 지식공유와 기술습득의 매개효과 연구
- 글로벌 금융시대 한국 주식시장의 애널리스트 허딩 행태에 따른 텍스트 정보력 연구
- 한국 주요 산업의 GVC 현황과 쟁점
- K-Food의 인도네시아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글로벌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의사결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