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무역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이용수 192
- 영문명
- The Role of Trad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통상정보학회
- 저자명
- 윤성종
- 간행물 정보
- 『통상정보연구』제25권 제2호, 141~15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후변화가 생산성, 물류망, 무역 비용, 비교우위의 변화를 통해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어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무역의 역할을 검토한 후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본다. 무역의 확대는 식량, 보건 등 주요 상품과 서비스는 물론이고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필요한 기술에 대한 접근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며 비교우위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을 할 수 있게 한다. 각 국가는 물류망을 강화하고 생산, 공급처, 고객을 다양화하며 장기적인 인적자본 투자를 하는 등 포괄적인 기후변화 대응조치를 실행하여야 한다. 동시에 저소득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돕고 국가 간 무역과 기후변화 대응정책 공조를 통하여 세계 경제의 기후변화에 대한 탄력성을 제고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rade through changes in productivity, logistics networks, trade costs, and comparative advantag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n examines the role of trad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examines policy implications. The expansion of trade allows access to key goods and services such as food and health, as well as the technologies necessary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s of climate change, reduce the negativ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changes in comparative advantage. Each country should implement comprehensive climate change response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its logistics networks, diversifying production, suppliers and customers, and investing in long-term human capital.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help low-income developing countries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enhance the resilience of the world economy to climate chang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in trade and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기후변화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Ⅲ.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무역의 역할
IV. 정책적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첨단산업의 수출과 지식재산권보호에 관한 연구
- 중국 제조업 수출기업의 친환경 협력 결정요인과 기업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무역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 문화적 거리가 해외 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의 혁신전략이 개방형 혁신과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실질유가와 실질실효환율의 불확실성이 한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품목별 실질수출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
- 한국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 촉진 요인과 유통채널 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 제품우위에 대한 글로벌 정보통합과 공식화의 영향에서 지식공유와 기술습득의 매개효과 연구
- 글로벌 금융시대 한국 주식시장의 애널리스트 허딩 행태에 따른 텍스트 정보력 연구
- 한국 주요 산업의 GVC 현황과 쟁점
- K-Food의 인도네시아 시장경쟁력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 글로벌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의사결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