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갈변 현상이 적은 하얀 찰성 쌀보리 ‘백수정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Naked Waxy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 ‘Baeksoojeongchal’ with Less Browning as Cooked Barley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박진천 김양길 이창현 박슬기 허온숙 김경호 강천식 박종호 이미자 윤영미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55 No.2, 179~18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eksoojeongchal’, a new naked waxy barley cultivar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Jinmichapssal’ and ‘Radiant’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9. ‘Baeksoojeongchal’ is a white, waxy naked barley cultivar with a low browning reaction owing to the low levels of proanthocyanidin. Regional yield trials were conducted for ‘Baeksoojeongchal’ as the breeding line, ‘Jeonju135’ at four different regions between 2017 and 2019. The average heading date of ‘Baeksoojeongchal’ in the paddy field was April 20, which was a day later than that of ‘Saechal’. Maturing date of ‘Baeksoojeongchal’ in the paddy field was May 26, which was 2 days later than that of ‘Saechal’. It has a short culm length of 75 cm and a short spike length of 4.3 cm, with 48 grains per spike and a 1,000-grain weight of 29.5 g. Compared to ‘Saechal’, ‘Baeksoojeongchal’ shows weaker winter withering and has better tolerance to lodging. The incidence of BaYMV (Barley yellow mosaic virus) in ‘Baeksoojeongchal’ was similar to that in ‘Saechal’; in addition, it was susceptible to powdery mildew. The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ksoojeongchal’ indicated a similar protein content (9.6%) and a lower proanthocyanidin content (0.011%) and whiteness (42.0) compared to that in ‘Saechal’. The average yield was 505 kg/10a in the paddy field, which was 7% higher than that of ‘Saechal’. ‘Baeksoojeongchal’ is the naked waxy barley cultivar with the most whiteness and low proanthocyanidin content; therefore this coul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barley consumption, by avoiding reduction in consumer preference (Registration No. 9194).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육종학회지 Vol.55 No.2 목차
- 잎과 종실이 매끄러운 중만생 복합내병충성 고수량 사료용 벼 ‘고우’
- 갈변 현상이 적은 하얀 찰성 쌀보리 ‘백수정찰’
- 국내 벼 주요 재배품종의 키다리병 저항성 평가
- 바스마티 품종을 활용한 벼 종자 크기 관련 양적형질 유전자좌 분석
- 금잔디와 들잔디의 교잡종 한국잔디의 ‘한라그린12’ 품종 개발
- 칩가공 품질이 우수하고 역병에 강한 감자 품종 '만강'
- 키가 작고 녹기연장의 한국잔디 ‘한라그린11’ 품종의 개발
- 가속기빔을 이용한 돌연변이 육종의 특성과 연구개발 현황
- 보리호위축병과 추위에 강한 겉보리 ‘한강’
- 알러지 저감 밀 ‘오프리’의 질소 시비가 생육 특성 및 국수 적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sucrose, and silver nitrate on in vitro rose flowering
- CRISPR-enhanced iron accumulation in TBR225 rice via OsNRAMP7 overexpression
- 용매 농도와 추출 방법이 개똥쑥 잎의 생리활성 화합물 추출 효율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