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알러지 저감 밀 ‘오프리’의 질소 시비가 생육 특성 및 국수 적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
- 영문명
-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O-free, Korean Wheat Cultivar Reduced ω-5 gliadin, on Agronomic Traits and Noodle Properties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홍수민 박진희 이고은 윤영미 강천식 박철수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55 No.2, 126~136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s of additional N fertilization on agricultural traits, flour characteristics, andnoodle quality of O-free, a variety known for reduced allergy effects. With increasing fertilization rates, both culm length and spike lengthshowed an increase, accompanied by a rise in grain nitrogen removal due to higher protein content in the grains. The leaf area index (LAI)reached its peak during the booting stage, while the canopy LAI peaked at 21 days after flowering (21-DAF). Although LAI of plant washigher in the treatments with additional nitrogen (N1 and N2) compared to the control (N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in canopy LAI. Chlorophyll fluorescence values were highest at 21-DAF and lowest at 35-DAF, regardless of the fertilizer rate. The dryweight of leaves and stems was highest at 7-DAF in N0 and N1 treatments, but at 21-DAF in N2 treatment. During grain filling, the nitrogencontent decreased in leaves and stems, while it increased in the grains. With higher fertilization rates,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moisturecontent, flour color value,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of flour, whereas the particle size of flour decreased. Dough extensibility,mixing time, and protein strength showed an increase as the fertilizer rate increased, but dough stability decreased. The control exhibitedthe highest starch gel stability and aging, while N1 had the lowest starch swelling. Cooked noodles demonstrated increased brightness, thickness,and hardness with increasing fertilizer rate, but elasticity and viscosit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육종학회지 Vol.55 No.2 목차
- 잎과 종실이 매끄러운 중만생 복합내병충성 고수량 사료용 벼 ‘고우’
- 갈변 현상이 적은 하얀 찰성 쌀보리 ‘백수정찰’
- 국내 벼 주요 재배품종의 키다리병 저항성 평가
- 바스마티 품종을 활용한 벼 종자 크기 관련 양적형질 유전자좌 분석
- 금잔디와 들잔디의 교잡종 한국잔디의 ‘한라그린12’ 품종 개발
- 칩가공 품질이 우수하고 역병에 강한 감자 품종 '만강'
- 키가 작고 녹기연장의 한국잔디 ‘한라그린11’ 품종의 개발
- 가속기빔을 이용한 돌연변이 육종의 특성과 연구개발 현황
- 보리호위축병과 추위에 강한 겉보리 ‘한강’
- 알러지 저감 밀 ‘오프리’의 질소 시비가 생육 특성 및 국수 적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sucrose, and silver nitrate on in vitro rose flowering
- CRISPR-enhanced iron accumulation in TBR225 rice via OsNRAMP7 overexpression
- 용매 농도와 추출 방법이 개똥쑥 잎의 생리활성 화합물 추출 효율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