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도시 및 중소도시 입지별 혁신도시의 청년인구 유입효과 비교분석

이용수 60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Local Investment Support Schemes for Local Industry Development and Activation
발행기관
한국지역개발학회
저자명
고정우 이주림 구자훈
간행물 정보
『한국지역개발학회지』제35권 제2호, 45~6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정부에서 추진한 혁신도시 조성에 따른 청년인구 유입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대도시 및 중소도시 입지유형별로 청년인구 유입효과를 비교분석하며, 둘째, 청년인구 유입을 수도권과 비수도권에서의 청년인구 순유입률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수도권 지역 162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2007~2019년까지 시계열 자료를 구축하여 이중차분법(DID)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도시 조성에 따른 청년인구 유입효과를 대도시 입지형과 중소도시 입지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대도시 입지형은 혁신도시 조성으로 인한 청년인구 유입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소도시 입지형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서의 청년인구 유입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대도시의 경우 청년인구가 정착할 수 있는 양호한 환경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혁신도시 조성으로 인한 환경개선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기존 인프라가 부족한 중소도시의 경우 혁신도시 조성에 따른 지역 여건 개선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중소도시에서 혁신도시 조성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의 청년인구 유입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도시 조성이 비수도권 내 청년인구 유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크게 작용하였고, 이와 함께 수도권에서의 청년인구를 유입하는 효과도 있어 지역균형발전이라는 혁신도시 정책목표 달성에 기여하였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최근 청년인구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균형발전의 일환으로 추진된 혁신도시 조성이 청년인구 유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대도시보다 중소도시에 입지한 혁신도시에서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ur study analyses youth population influx following the government’s Innovation City project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To this end, we constructed panel data from 2007 to 2019 for 119 local governments in non-Seoul Metropolitan Areas and analysed them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DID) model.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influx of youth population by location types of large cit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confirmed that the influx of youth popul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an Innovation C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location type of a large city. However, a location type of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x of youth popul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MA) and non-Seoul Metropolitan Area(non-SMA). Consequently, the Innovation City projec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flux of the youth popul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youth population in the SMA is intensifying. In particular,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the effect in innovation cities located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ather than in large cities.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및 변수구성
4. 실증분석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정우,이주림,구자훈. (2023).대도시 및 중소도시 입지별 혁신도시의 청년인구 유입효과 비교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5 (2), 45-68

MLA

고정우,이주림,구자훈. "대도시 및 중소도시 입지별 혁신도시의 청년인구 유입효과 비교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5.2(2023): 45-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