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석탄회 혼합 모래필터의 폐색 예측을 위한 신경망모델
이용수 9
- 영문명
- A Neural Network Model to Estimate the Clogging of Ash Mixed Sand Filter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병식(Lee, Byungsi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3호, 147~15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강우유출수 침투시설에 설치한 침투필터는 운영 시 오염물질이 공극을 막는 폐색이 발생할 수 있다. 침투시설의 기능 저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폐색도를 고려하여 필터를 유지관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폐색도의 변화를 침투유량에 대한 침투율의 상관관계인 폐색곡선으로 나타냈다. 폐색도 추정을 위해 임의로 선정한 특성치 조건(석탄회 혼합률, 침투율, 침투율 변화량)에서 기준값(침투유량)을 추정할 수 있는 회귀 신경망(neural network, NN)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든 훈련 데이터세트에 대해서 훈련한 최종모델의 신뢰도와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 결론을 얻었다. 1) 최종모델의 성능평가지표인 평균절대오차 (MAE)는 훈련세트와 테스트세트에 대해서 각각 0.00445와 0.00491로 구해져 적절한 수준으로 훈련되었음을 확인했다. 2) 최종모델은 훈련된 침투율 시계열 구간과 임의 석탄회 혼합률 조건에 대한 다중 다변량 폐색곡선을 추정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최종모델은 훈련되지 않은 미래 시간스텝에 대한 폐색곡선의 예측이 불가하므로 대안으로 합성곱신경망(CNN) 혹은 장단기 기억 순환신경망(LSTM-RNN) 모델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filtration filters of LID facilities are frequently confronted with clogging of pores by contaminants. To avoid malfunctioning of LID facilities, filters should b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logging. In this study, clogging was characterized by curves represent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filtration rate and infiltration quantity. To estimate the degree of clogging, a regression neural network model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label (infiltration quanti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eatures (ash mix ratio, infiltration rate, and variation of infiltration rate).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valuation of accuracy and applicability of the final model trained over the whole training datase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e training of the final model was verified to be correct according to mean absolute errors of 0.00445 and 0.00491 for the training and test datasets, respectively; 2) the final model could be applied to estimate multiple, multivariate clogging curves for arbitrary ash mixing ratios and trained range of time series in terms of infiltration rate; 3) given that the final model could not estimate the clogging curve for future time steps for which the model was not trained, a CNN model or LSTM-RNN model ar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선통신보조설비의 개선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UHPFRCC의 균열 발생 여부에 따른 전자파 차폐 성능 평가
- 석탄회 혼합 모래필터의 폐색 예측을 위한 신경망모델
- 미국의 사례를 통해 본 우리나라 의용소방대 활성화 제도 개선 방안 연구
- 내화시험 및 해석을 통한 U형 합성보의 내화피복 두께에 대한 연구
-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의 장소별 안전사고 발생을 중심으로
- 연결성 기반 상수도 구조물 네트워크의 지진응답평가
- LID 시설로서 벽면녹화 시스템의 저류 효과 분석
- 소방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필로티 건축물 화재진압 연구
- 방염도료의 주성분에 따른 Oak 합판의 방염성능 실험
- 강원도 미세먼지 분포에 대한 태백산맥의 영향
-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체감온도 기반의 폭염 심각도 편차와 취약성 진단연구: 도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 강관 추진마찰저항력 산정 기법 연구
- 고온에 노출된 창호 프레임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 석유화학 플랜트 내화용 피복재의 화재손상 특성에 관한 연구
- 지진가속도 계측 센서의 출력전압 선형비 검정기준 개선
- 작업자 위치추적 및 BIM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 모니터링 기술 개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