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체감온도 기반의 폭염 심각도 편차와 취약성 진단연구: 도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수 250
- 영문명
- Heatwave Severity and Vulnerability Analysis based on Sensible Temperature Using Urban Big Data Considering Health Inequalit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박해경(Park, Haekyung) 유연주(Yoo, Yunjoo) 김상일(Kim, Sang-I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3호, 41~5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령이나 경제적 능력에 따라 폭염 대응능력은 다르다. 폭염에 취약한 사람들은 위험을 인지하더라도 회피가 어려워 이들에대한 건강 불평등의 해소는 공공의 역할이 중요하며,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 증가까지 고려한다면 무더위쉼터보다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환경의 근본적 개선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서울 내 우선 개선되어야 할 지역은 어디일까? 폭염이 더 심각한지역이 존재하는 것일까? 그 차이는 얼마나 될까? 본 연구는 이와같은 연구 질문을 시작으로 2021년 여름 기준 주거지역간 폭염 심각도의 편차를 분석하고 시공간 패턴 마이닝 기법을 이용해 서울의 상대적 고온지역과 저온지역을 분류한 뒤, 신체⋅주거⋅경제적으로 폭염 취약요소가 밀집된 지역을 중첩하여 취약성을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서울 내 우선 주거환경개선지역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서울 내 주거지역 간 폭염 심각도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상대적 고온지역은 저온지역보다 체감온도가 약 1.7 ℃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차별성은 폭염 분석에 시⋅공간을동시 고려한 점과 체감온도의 사용으로 사람이 실제 느끼는 온도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 그리고 기존 폭염 취약성 연구들이구⋅동단위 분석인 반면에 집계구 단위로 취약성을 진단해 주거환경 개선 필요지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 ability to deal with heatwaves varies depending on age and income. Even if people notice the danger, those who are vulnerable to heatwaves are not able to avoid it. Therefore, the public role is important for their health and lif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increase in heatwaves owing to climate chang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vulnerable people needs to be improved. Then, which residential areas should be improved primarily? Are there areas with more severe heatwaves? How large is the difference between areas? Starting with these research questions, we analyzed the severity of heatwaves between residential areas in Seoul based on the summer of 2021. We then classified relatively high and low-temperature regions using space-time pattern mining. We identified hotspot areas that are physical, residential, and economically vulnerable to heatwaves and overlayed them with the classified temperature clusters to assess heatwave vulnerability in Seoul. Based on this assessment, we suggested areas that need priority in terms of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resolve health inequality caused by heatwaves. We further establish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heatwaves between residential areas, and the difference in sensible temperature was approximately 1.7 ℃ higher in the relatively high cluster than in the relatively low cluster. The novelty of this study lies in using sensible temperature, considering both location and time, and suggesting specific areas for improvement by using a higher resolution unit of analysi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선통신보조설비의 개선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UHPFRCC의 균열 발생 여부에 따른 전자파 차폐 성능 평가
- 석탄회 혼합 모래필터의 폐색 예측을 위한 신경망모델
- 미국의 사례를 통해 본 우리나라 의용소방대 활성화 제도 개선 방안 연구
- 내화시험 및 해석을 통한 U형 합성보의 내화피복 두께에 대한 연구
-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의 장소별 안전사고 발생을 중심으로
- 연결성 기반 상수도 구조물 네트워크의 지진응답평가
- LID 시설로서 벽면녹화 시스템의 저류 효과 분석
- 소방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필로티 건축물 화재진압 연구
- 방염도료의 주성분에 따른 Oak 합판의 방염성능 실험
- 강원도 미세먼지 분포에 대한 태백산맥의 영향
-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체감온도 기반의 폭염 심각도 편차와 취약성 진단연구: 도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 강관 추진마찰저항력 산정 기법 연구
- 고온에 노출된 창호 프레임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 석유화학 플랜트 내화용 피복재의 화재손상 특성에 관한 연구
- 지진가속도 계측 센서의 출력전압 선형비 검정기준 개선
- 작업자 위치추적 및 BIM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 모니터링 기술 개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