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선통신보조설비의 개선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Improvement and Utilization of Auxiliary Radio Communication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박정주(Park, Jungju) 최돈묵(Choi, Donmoo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3호, 83~9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무선통신보조설비는 지하층, 터널⋅고층건축물 등의 재난현장에서 소화 및 구조활동하는 소방대와 지상지휘부 사이에 원활한 무전통신을 위해 필요한 소화활동설비이다. 재난현장에서는 지휘부와 현장 대원간의 원활한 통신은 작전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 그러나, 현대건축물에 사용되고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전파를 반사⋅굴절⋅회절시켜 송수신의 최대 장애물이 되고 있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 누설동축케이블과 안테나를 설치하여 소방대 상호 간 안정적인 무선교신을 할 수 있게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화재⋅구조현장에서는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사용하는 경우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렇게 활용도가 저조한 이유는 기존의 접속단자함 방식은 송⋅수신 범위가 제한적이고 교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소방대원들이 사용하는데 불편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파법 개정으로 소방용 무전기가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화재안전기준 도 개정되었으나, 설계⋅감리⋅점검 등 모든 분야에서 문제점은 개선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함으로써 재난현장에서의 원활한 통신을 바탕으로 화재⋅구조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An auxiliary radio communication system i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necessary for smooth radio communication between a fire brigade and the ground command departments performing fire extinguishing and rescue activities at disaster sites such as basements, tunnels, and high-rise buildings. The ability to provid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and and field personnel at the disaster site determines the success of the operation. However,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sed in modern buildings reflect, refract, and diffract radio waves. Thus, they represent the largest obstacles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compensate for this aspect, leaky coaxial cables and antennas can be installed to enable stable radio communication between fire departments. Nevertheless, at most fire and rescue sites, auxiliary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 rarely used. This is because the existing connection terminal box method is inconvenient for firefighters, as the rang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limited and communication is substandard. In general, fire safety standards were revised after converting firefighting radios to digital transmission owing to the revision of the Radio Act, but the problems in areas such as design, supervision, and inspection did not improve. In this study, fire and rescue activities are performed with smooth communication at disaster sites by analyzing and addressing the problems of auxiliary radio communication system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선통신보조설비의 개선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UHPFRCC의 균열 발생 여부에 따른 전자파 차폐 성능 평가
- 석탄회 혼합 모래필터의 폐색 예측을 위한 신경망모델
- 미국의 사례를 통해 본 우리나라 의용소방대 활성화 제도 개선 방안 연구
- 내화시험 및 해석을 통한 U형 합성보의 내화피복 두께에 대한 연구
-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의 장소별 안전사고 발생을 중심으로
- 연결성 기반 상수도 구조물 네트워크의 지진응답평가
- LID 시설로서 벽면녹화 시스템의 저류 효과 분석
- 소방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필로티 건축물 화재진압 연구
- 방염도료의 주성분에 따른 Oak 합판의 방염성능 실험
- 강원도 미세먼지 분포에 대한 태백산맥의 영향
-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체감온도 기반의 폭염 심각도 편차와 취약성 진단연구: 도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 강관 추진마찰저항력 산정 기법 연구
- 고온에 노출된 창호 프레임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 석유화학 플랜트 내화용 피복재의 화재손상 특성에 관한 연구
- 지진가속도 계측 센서의 출력전압 선형비 검정기준 개선
- 작업자 위치추적 및 BIM을 활용한 건설현장 안전 모니터링 기술 개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3권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Innovative Design of Excess Electricity Usage from an Islanding Micro-Hydroturbin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Dump Load. A Case Study of Hhaynu River - Mbulu, Tanzania
- 저에너지 최적가용기법을 적용한 미세기포의 부상효율 최적화
- 조류 독소 제거를 위한 최적가용기법(BAT)으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활용한 MC-LR 저감 성능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